‘단일’로 하자 ‘집단’으로 하자… 한국당 ‘지도체제’ 논쟁 가열

입력 2018-12-27 04:03
나경원 자유한국당 원내대표와 정용기 정책위의장, 정양석 원내수석부대표(왼쪽부터)가 26일 국회에서 열린 한국당 의원총회에 참석해 현안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뉴시스

내년 2월 말 예정된 전당대회를 앞두고 자유한국당에서 현행 단일지도체제를 유지할지 여부를 두고 내부 논쟁이 뜨겁다. 지도체제 문제가 전당대회 선거 ‘룰(rule)’은 물론 2020년 총선 전략과도 밀접한 연관성을 띠면서 당권주자와 비(非)당권주자 간 입장차가 선명해지는 양상이다. 현역 의원과 당원들 사이에서는 ‘집단지도체제’로 회귀하자는 목소리가 높지만 당선 시 2020년 총선을 지휘해야 하는 당권주자들은 현행 단일지도체제 유지를 선호하는 기류가 강하다.

한국당은 26일 국회에서 의원총회를 열고 지도체제 문제를 논의했지만 결론을 내리지는 못했다. 의총에서는 현행 단일지도체제를 유지할지, 집단지도체제로 개정할지를 두고 의원들이 격론을 벌였다고 한다. 한국당은 2016년 20대 총선 패배를 계기로 12년간 이어져온 집단지도체제를 단일지도체제로 바꿨다. 당시에는 김무성 전 대표 시절 친박근혜계 최고위원들과 사사건건 갈등을 빚으며 최고위원회가 ‘봉숭아학당’이 됐다는 비판에 따른 결정이었지만, 올해 6월 지방선거를 계기로 홍준표 전 대표의 독주가 선거 패배 요인으로 꼽히면서 집단지도체제 회귀 목소리가 높아졌다.

의원들 사이에서는 전당대회를 앞두고 극대화된 계파갈등을 봉합하기 위해서도 다양한 계파가 지도부에 참여할 수 있는 집단지도체제가 좋다는 의견이 많다. 원희룡 제주지사, 유승민 전 바른미래당 공동대표 등 한국당 밖에 있는 보수 진영 차기 주자들을 한국당으로 끌어들이기에도 집단지도체제가 유리하다는 논리다. 지난 10월 비상대책위원회 산하 정당개혁위원회가 공개한 당원 대상 설문조사에서도 응답자의 64%가 집단지도체제 복원을 선호한다고 답했다.

하지만 정우택 의원, 오세훈 전 서울시장, 김태호 전 경남지사 등의 당권주자들은 “당의 명운을 가르는 총선을 앞두고는 아무래도 일사불란한 리더십이 불가피하다”며 단일지도체제를 주장하고 있다. 한 당권주자는 “아무런 보완책 없이 집단지도체제로 회귀하면 총선을 앞두고 지도부 내 이견이 나올 때마다 당이 교착상태에 빠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다만 이들도 “단일지도체제에 대한 당내 우려가 적지 않은 만큼 비대위가 중재안을 내놓는다면 고려해보겠다”는 입장이다. 당권주자 중에서도 주호영·김진태 의원은 집단지도체제를 선호하고 있다.

김용태 사무총장은 의총 직후 “내년 1월 10일까지는 (지도체제를 포함한) 당헌당규 개정안을 처리하고 바로 전당대회 준비위원회를 구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당은 의총에서 지도부 선출 과정에 대해서는 현행 ‘당원투표 70%·일반 국민 여론조사 30%’를 유지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또 기소와 동시에 선거권·피선거권 등 당원권을 정지하는 현행 당규를 완화해 직무만 정지하도록 개정키로 했다.

한편 오 전 시장은 추미애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 지역구인 서울 광진을 당협위원장에 응모하기로 했다. 그는 지난 4월부터 광진구 자양동에 살고 있다. 한국당은 광진을 등 전국 25개 선거구 당협위원장에 대해 추가 공모에 들어갔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