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내년 통화정책 ‘완화’ 유지… 물가안정 목표 2%”

입력 2018-12-27 04:03
한국은행은 26일 발표한 ‘2019년 통화신용정책 운영 방향’에서 “통화정책의 완화 기조를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통화정책의 근간인 물가안정 목표는 현재의 2%(소비자물가 상승률 기준)로 고정했다. 대신 적용기간(3년)은 없애기로 했다. 한은은 “예상치 못한 경제 충격으로 물가 목표를 바꾸는 게 불가피할 경우에만 다시 설정하겠다”고 설명했다.

한은은 이날 금융통화위원회 개최 직후 이러한 운영 방향을 밝히며 “기준금리는 성장세 회복이 이어지고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물가 목표 수준에서 안정될 수 있도록 운용하겠다”고 말했다. 다만 “주요국 통화정책, 미·중 무역분쟁 등이 성장과 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점검하면서 완화 정도의 조정 여부를 판단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한은은 내년 세계경제 성장세가 둔화되면서 국내 경제도 큰 폭의 성장은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다. 한은은 “글로벌 무역분쟁 심화 가능성과 중국 성장세 둔화 우려, 유로 지역 정치적 리스크 등 불확실성 요인이 잠재하고 있다”며 “국내 성장 경로상에도 상·하방 리스크가 혼재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또 한은은 물가안정 목표 기한을 없애는 대신 매년 두 차례씩 물가점검 보고서를 발간하고 총재가 기자간담회 등을 통해 국민에게 직접 물가 상황을 설명하기로 했다. 기존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6개월 연속 물가안정 목표를 0.5% 포인트 넘게 벗어나면 물가설명회 등을 열어 초과 원인과 향후 전망, 통화정책 방향 등을 설명했다. 이런 상황이 지속되면 3개월마다 물가설명회를 열었다. 실제 물가설명회는 2016년 7월과 10월 두 차례 열렸다.

한은은 “물가 수준과 변동성이 선진국과 크게 다르지 않게 되면서 물가안정 목표를 변경할 필요성이 예전보다 크지 않다”며 “반면 국제유가 변동성 등 최근 물가 상황이 복잡해 이와 관련한 대국민 커뮤니케이션을 강화할 필요성이 커졌다”고 설명했다.

물가 목표를 2%로 유지한 데 대해 한은은 “중장기적 관점에서 적정 인플레이션율은 2% 내외인 것으로 추정된다”며 “이는 거의 모든 선진국에서 채택하고 있는 이른바 글로벌 표준”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가계부채 증가에 다른 금융불균형 누적과 대외리스크 요인 변화에 따른 금융·외환시장 변동성 확대에도 유의하겠다”며 “특정 자산시장으로의 자금쏠림 여부와 경제주체들의 위험선호 성향 변화 등도 지속적으로 파악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양민철 기자 list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