짧은 기독교의 역사 동안 한국교회는 그 어떤 나라도 이루지 못한 부흥과 발전을 이뤘으며 한국 기독교만이 가지고 있는 신앙의 전통을 만들어 가고 있다. ‘새벽예배’ ‘통성기도’ 등이 그 예이다.
송구영신예배 또한 한국교회의 전통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1887년 12월 31일 아펜젤러 선교사가 사역하고 있던 벧엘교회(현 정동제일교회)와 언더우드 선교사가 시무하던 정동교회(현 새문안교회)가 연합해서 첫 송구영신예배를 드렸다. 그날 아펜젤러와 언더우드 선교사는 18세기부터 한 해의 마지막 날에 ‘언약예배(Covenant Worship)’ ‘언약갱신예배(Covenant Renewal Worship)’ ‘야성회(Watch Night Worship)’ 등의 이름으로 드렸던 예배를 한국에서 처음 시작했던 것이다. 이후 한국교회는 12월 31일 자정을 즈음해서 지난 한 해를 돌아보며 회개하고 다가오는 새해를 위해 하나님과 새로운 언약을 맺는 송구영신예배를 본격 드리게 된 것이다.
요즘 송구영신예배를 ‘자정예배’ 혹은 ‘영시예배’라고 부르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영시예배나 자정예배는 송구영신(送舊迎新)의 의미를 축소시키고 예배 시간에만 초점을 맞춘 것이기 때문에 교회 용어로는 적당하지 않다. 그리고 언제부터인가 샤머니즘적인 요소가 슬그머니 송구영신예배에 들어와 있는데 바로 ‘말씀 뽑기’이다. 성도들은 마치 ‘신년 운세 점치기’처럼 말씀을 뽑는다. 이를 위해 목회자들은 3만 절이 넘는 성경말씀 가운데 성도들이 혹시라도 시험에 들지 않도록 듣기 좋은 성경 구절을 고르는데, 이처럼 눈 가리고 아웅 하는 식의 말씀 뽑기는 그 어떤 경우에서도 용납될 수 없다. 불순물을 더 많이, 더 혹독하게 제거할 때 금의 순도는 높아진다. 신앙도 마찬가지이다. 기복신앙에서 벗어나기 위해 애를 쓰고 있는 한국교회는 기독교의 순수한 신앙을 지키기 위해 ‘말씀 뽑기’라는 불순물을 빨리 걷어내 버려야한다.
이상윤 목사(한세대 외래교수)
[교회용어 바로 알기] ‘자정예배’보다는 ‘송구영신예배’
입력 2018-12-27 0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