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중진 잡을 자객’ 찾는 한국당 구인난에 당협위원장 영입 부진

입력 2018-12-25 04:05

자유한국당이 더불어민주당 중진 의원의 지역구를 표적으로 선거 경쟁력이 있는 인물을 내세워 맞붙을 놓는 전략을 구상하고 있다. 이른바 ‘자객’을 전략적으로 투입해 차기 총선의 기선을 제압하겠다는 것이다. 수도권을 승부처로 보고 있는데, 문제는 한국당의 구인난이다.

한국당 인적 쇄신 작업을 주관하는 조직강화특별위원회 관계자는 24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민주당 의원 중에서 선수(選數)가 높은 유력 정치인이 있는 지역구에 우리 당도 강한 인사를 세울 필요가 있다”며 “당협위원장 심사에서 이런 부분도 적극 고려하려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인적 쇄신을 했는데 경쟁력이 없으면 여당에 의원직만 진상하는 꼴”이라며 “저쪽 강타자 지역에는 우리도 센 선수를 내보내야 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한국당 내에서는 정치 일번지 서울 종로를 지역구로 둔 정세균 전 국회의장, 당대표를 지낸 추미애(서울 광진을) 의원, 원내대표 경력의 박영선(서울 구로을)·우상호(서울 서대문갑) 의원, 여당의 ‘싸움닭’ 역할을 해온 서울 영등포을의 재선 신경민 의원 등 중량감 있는 여당 정치인 지역을 우선 타깃으로 삼는 방안이 거론되는 것으로 전해진다. 또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 조국 민정수석 등 청와대 참모가 총선에 나설 경우 해당 지역에 대항마를 출전시켜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조강특위는 인적 쇄신 1단계로 현역 의원 21명이 포함된 당협위원장 교체 대상 지역 79곳을 선정했으며, 후속조치로 지난 20일까지 당협위원장 공개 모집을 했다. 모두 246명이 지원해 평균 3.1대 1의 경쟁률을 나타냈다. 조강특위는 이날 당협위원장 인선을 위한 첫 회의를 열어 서류 심사를 진행했다.

신청자 명단에 눈에 띄는 거물급 인사들은 보이지 않았다고 한다. 차기 대권 주자로 꼽히는 황교안 전 국무총리, 오세훈 전 서울시장, 김태호 전 경남지사도 아직 신청서를 내지 않았다. 다만 복당하며 ‘험지 출마’ 뜻을 밝힌 오 전 시장은 “총선 전 당에서 어느 곳으로 출마하는 게 당에 도움이 된다고 판단하면 그 지역을 최우선적으로 검토하겠다”고 강조했다.

한국당 비상대책위원회는 다음 달 중순 당협위원장 1차 배치를 마무리하기 전까지 인재영입 작업을 이어갈 계획이다. 경쟁력 있는 인물이 없는 지역은 재공모 또는 후보 ‘전환배치’를 하거나 공석으로 남기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한국당 당직자는 “자객을 보내려 해도 현재 마땅한 선수가 없는 실정”이라며 “향후 총선 승리 가능성이 높아지면 인재들이 모이지 않겠느냐”고 전했다.

지호일 이형민 기자 blue5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