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례시’를 추진 중인 경남 창원시가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허성무 창원시장은 “창원특례시와 통합창원시의 정체성 재정립을 통해 미래 30년 성장뼈대를 만드는데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고 24일 밝혔다.
창원시는 30년 만의 지방자치법 개정으로 ‘몸에 맞는 옷(창원특례시)’으로 갈아입을 수 있는 길이 열렸다. 행안부가 지난달 지방자치법 개정안을 입법예고했고, 정부의 지방분권 의지가 강한만큼 특례시 통과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하고 있다.
특례시는 광역자치단체와 기초자치단체 사이의 차별적 권한을 부여받는 새로운 형태의 지방자치단체 유형이다. 창원시가 특례시가 되면 늘어나는 복지·행정 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근대 산업화와 민주화의 중심지인 창원시는 통합시의 정체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도 기울이고 있다. 2019년은 창원의 근현대 역사를 기억할 특별한 해이기도 하다. 3·1독립만세 운동 100주년, 마산개항 120주년, 부마항쟁 40주년을 맞기 때문이다. 시는 지난 8월 근현대사 기념사업 추진위원회를 발족하고 근현대사를 기념할 총 30개의 기념사업 실행계획을 준비하고 있다.
민주화운동 기념관 건립을 위해 건립추진위원회를 구성하고 국비 확보 등 관련 행정절차에 들어갔다. 3·15의거탑 유적지 정비 등 14곳에 달하는 민주화 유적지의 체계적 관리기반도 구축했다. 부마민주항쟁 국가기념일 지정 촉구 운동도 전개하고 있다.
창원시는 또 견실한 성장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기계산업 중심 기업을 창원형 스마트 제조 혁신기업으로 바꿔나가고 수소·방산·항공부품의 3대 산업을 미래 먹거리산업으로 집중 육성하고 있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
특례시 도입 가시화에 새 도약 준비하는 창원
입력 2018-12-24 20: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