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벨트 지킨 서울시 “도심 유휴부지 활용 주택 8만 가구 공급”

입력 2018-12-19 19:02 수정 2018-12-19 23:43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이 19일 오전 서울 정부청사에서 수도권 3기 신도시 입지와 2기 신도시 광역교통개선 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최종학 선임기자

19일 정부가 발표한 ‘2차 수도권 주택공급 계획’에서도 서울 내 그린벨트(개발제한구역)는 제외됐다. 그린벨트 해제 불가 방침을 고수해 관철시킨 서울시는 이번 공급계획 외에도 유휴부지를 활용해 총 8만 가구 주택을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서울시와 국토교통부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발표한 2차 주택공급 계획에 따르면 서울 도심 중소규모 택지 32곳을 활용해 1만9000가구가 공급된다. 이 중 서울시가 제안한 택지는 24곳 1만5000가구다. 군 유휴부지나 시가 보유한 부지에 대규모 주택을 짓거나 노후 공공시설을 활용하는 방안이다. 34만6000㎡에 이르는 은평구 수색역세권(2170가구), 7만3000㎡ 규모의 강서구 서남물재생센터 유휴부지(2390가구) 등이 포함됐다. 강남권 노른자위 부지로 꼽히는 강남구 삼성동 서울의료원 주차장 부지(800가구)와 대치동 동부도로사업소 자리(2200가구)가 들어간 것도 눈에 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서울의료원 주차장이나 동부도로사업소 부지 등은 서울시 기존 부지 활용 계획을 변경하면서까지 이번 계획에 포함한 곳”이라며 “주택시장 안정과 공급 확대라는 큰 방향을 위해 많은 고심 끝에 결정을 내렸다”고 설명했다.

지난 9월 1차 공급계획 발표 당시 정부는 서울지역 그린벨트 직권해제 의지를 내비친 바 있다. 서울시는 그동안 미래세대를 위해 그린벨트를 건드려서는 안 되며 그린벨트 해제가 부동산 시장 안정화로 이어지지 않았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이 방침에 반대해 왔다. 지난번과 달리 이번 2차 발표에는 박 시장이 김현미 국토부 장관과 함께 배석한 것은 그린벨트와 관련한 국토부-서울시 합의가 원만히 이뤄졌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이날 정부는 향후 그린벨트 해제에 대해 별다른 언급을 하지 않았다. 서울시 관계자는 “그린벨트 문제를 놓고 긴 시간 국토부와 긴밀히 협의해 왔다”고 밝혔다.

박 시장은 이날 “서울시는 1, 2차 공급계획을 통해 밝힌 2만5000가구 외에도 민간을 활용하는 방식 등으로 5만5000가구를 추가해 모두 8만 가구를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상업·준주거지역과 도심 정비사업구역의 주거비율을 확대하고 역세권 용도지역을 상향하는 등 도심 내 고밀 개발을 추진하겠다는 계획이다. 도심 내 빈 오피스를 주거로 전환하는 사업도 본격화한다. 서울시는 상업지역 주거 용적률을 400%에서 600%로 높여 증가분의 50%를 임대주택으로 공급하는 계획만으로도 3만 가구가량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김유나 기자 spri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