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혁신도시에 이전한 공공기관의 지역경제 기여도가 낙제점에 머물러 개선 방안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공공기관의 용역 계약 가운데 지역 업체의 계약 금액이 8%에도 미치지 못하고, 지역 인재 채용도 14%에 머무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전북도의회 이명연 의원은 전북혁신도시 13개 공공기관 가운데 11곳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발주한 전체 용역 계약 3648건 1046억원 중 전북지역 업체가 따낸 것은 7.8%인 82억원에 그쳤다고 17일 밝혔다. 기관별로는 국민연금공단(0.5%)과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0.9%)은 1%에도 미치지 못했다. 농업기술실용화재단(1.9%)과 한국식품연구원(5.1%), 한국전기안전공사(9.6%) 등은 10% 미만이었고 농촌진흥청(10.9%)과 지방자치인재개발원(15.8%)은 20% 미만이었다. 국립농업과학원(42.3%)과 국립축산과학원(47.7%), 국립식량과학원(56.4%) 세 곳만 40% 이상이었다.
이번 자료는 청사관리와 청소관리·연구용역·IT관련용역 등 조달청 의뢰계약만을 분석한 것인데 물품과 공사계약을 포함시킨다면 지역업체의 참여율은 더욱 떨어질 것으로 예상됐다. 이 의원은 한국국토정보공사와 한국농수산대학 2곳은 자료 공개를 거부했다고 설명했다.
이 의원은 또 국가기관 7곳을 제외한 6곳의 2015~2017년 채용인원 1992명 중 지역인재 채용은 282명으로 전국 평균 325명 보다 부족했다고 지적했다. 또 11개 기관의 최근 3년간 지방세 납부액도 전국 평균인 418억원 보다 적은 306억원에 그쳤다고 덧붙였다. 이 의원은 “이전해 온 공공기관의 전북지역 경제 기여도는 F학점에 가깝다”며 “혁신도시 시즌 2가 시작되기 전 지역발전 거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사전준비에 철저히 나서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건설 공사의 경우 ‘지역의무공동도급제도’에 따라 지역업체의 참여가 보장돼 있지만, 물품·용역계약 등의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고 있다”며 “공공기관이 지역경제에 미친 파급성과 한계, 보완점 등을 면밀하게 분석해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
전북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 지역 기여도 ‘낙제점’
입력 2018-12-17 2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