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도나도 “국내 1호 트램도시” 노리더니… 공모 신청 5곳뿐

입력 2018-12-16 20:09

정부 지원 ‘트램’ 사업 공모에 실제 지원한 지자체는 많지 않았다. 당초 뜨거운 관심을 표시했던 지자체 상당수가 자체 비용 부담이 적지 않다는 것을 확인하고선 공모를 포기한 것으로 보인다.

16일 대구시 등에 따르면 지난 14일 마감한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무가선 저상트램 실증노선 선정 공모’에 부산시와 경기도 성남·수원시, 전북 전주시, 충북 청주시 등 5곳만 지원(마감일 오후 3시 기준)했다.

트램은 도로에 깔린 레일 위를 운행하는 노면전차다. 유해가스가 배출되지 않아 친환경 교통수단으로 인기를 얻으며 전 세계 400여개 도시에서 운행 중이다.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 개발한 무가선 트램은 전선이 필요한 기존 트램과 달리 전선 없이 배터리로 전력을 공급해 운행할 수 있다.

트램 도입을 위한 국가R&D 연구과제 실증사업인 무가선 저상 트램 실증노선 선정사업은 지난 10월 공모와 함께 지자체들의 관심이 집중됐다. 국내 1호 트램 도시 이미지를 가질 수 있는 것은 물론 관광 활성화 등 부가적인 이익이 많기 때문이다. 앞서 많은 지자체들이 트램 도입을 검토했지만 뚜렷하게 성과를 낸 곳이 없는 상황에서 정부 지원사업이 지자체들의 구미를 당긴 것이다. 이후 사업 설명회에 20여곳의 지자체가 참여했고 적극적인 참여 의사를 밝히 곳도 10곳이 넘었다.

하지만 비용 부담이 큰 것이 지자체들의 발목을 잡았다. 이 사업은 1㎞ 노선에 280억여원이 드는 사업으로 예산 중 110억원만 국비로 지원된다. 나머지는 지자체가 부담해야 한다. 추가 연장을 할 경우도 100% 지자체가 경비를 부담해야 한다.

이 때문에 지자체들의 공모 신청 포기 선언이 잇따랐다. 대구시는 지난 12일 공모에 참여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지방비 부담이 크고 시민공론화 과정을 통한 시민적 합의와 대구시에 맞는 노선 검토 없이 참여하는 것이 적절치 않다는 이유였다. 이보다 앞서 인천과 대전, 울산 등 많은 지자체가 신청을 하지 않기로 결정했는데 가장 주된 이유는 역시 지방비 부담이었다. 대전에서는 지역 시민단체가 “트램 도입 의지가 없다”며 비판하는 상황도 벌어졌다.

신청을 포기한 지자체 중 상당수는 자체 사업으로 트램 도입을 추진할 계획이다. 대구시는 트램 도입이 공약사항인 만큼 검토 후 도시철도 사업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송도 및 영종내부순환선 등의 트램 사업을 추진 중인 인천시도 공모 사업 실익이 크지 않다고 보고 자체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방침이다. 일부 지자체들도 지역 실정에 맞는 트램 도입 방안을 찾는다는 방침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트램은 장점이 많은 신교통수단으로 관심이 많지만 이번 공모 사업은 지방비 부담이 너무 커 신청하지 않기로 했다”며 “트램 도입을 포기한 것은 아니고 지역 실정에 맞는 방안을 시간을 두고 찾기로 한 것”이라고 말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전국종합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