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그룹이 11일 수소연료전지시스템 대량생산 체제 구축을 발표하면서 수소전기차 대중화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정부가 과감한 투자와 지원을 약속하고 국회는 수소전기차 보급과 충전 인프라 구축을 위한 내년도 예산을 크게 확대해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정부는 내년 수소전기차 4000대를 시작으로 2022년까지 수소전기차 1만6000대 보급 및 수소충전소 310곳 설치를 목표로 하고 있다. 수소전기차 4000대 보급은 소비자가 구매 리스트에 순수 전기차뿐 아니라 수소전기차도 올릴 수 있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서울시와 울산시 등 전국 6개 지방자치단체들도 2019년부터 2년간 총 30대의 수소버스를 시내버스 노선에 투입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수소차 운행의 최대 걸림돌로 꼽히는 충전소 문제 해결도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국회는 지난 8일 미세먼지 저감과 친환경차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수소전기차 보급과 충전 인프라 구축을 위해 내년도 예산을 크게 확대했다. 수소전기차 보급을 위한 예산 편성은 당초 2000대 수준이었지만 예산 심사 과정에서 원안의 두 배인 4000대로 늘어났다. 또 수소충전소 보급 예산 역시 150억원 증액돼 충전소 30곳을 확충할 수 있는 450억원으로 확정됐다.
내년부터 종료될 예정이던 수소차 등 친환경차량의 채권매입 면제규정도 2년 더 연장된다. 친환경차량 구입 시 제공되던 최대 250만원의 비용 절감효과가 한동안 지속될 수 있게 됐다. 더불어민주당 이원욱 의원이 발의한 ‘환경친화적 자동차의 개발 및 보급 촉진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수소차 육성법)도 국회를 통과했다. 수소차 육성법이 시행되면 환경친화적 차량의 충전시설을 설치할 때 국·공유재산 임대료가 최대 50%까지 낮아지게 된다.
주요 국가들도 수소전기차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중국은 ‘수소전기차 굴기’를 선언하고 2030년까지 수소전기차 100만대, 수소충전소 100곳 보급을 목표로 제반 법령 및 여건을 정비 중이다. 토요타가 수소차 ‘미라이’로 글로벌 판매량 5000대를 돌파한 일본도 2020년까지 수소전기차 4만대, 충전소 160곳 보급을 목표로 하고 있다.
글로벌 수소 연료전지 시장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미국의 컨설팅 업체 매킨지는 2023년까지 최대 220만대의 차량에 수소에너지가 활용되고, 수소에 대한 전 세계 수요는 500만~700만t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정건희 기자 moderato@kmib.co.kr
정부도 국회도 “수소차 적극 지원”
입력 2018-12-12 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