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의 대표적 해외자본 유치 사업인 중국 ‘조이롱 자동차’ 투자실현이 사실상 무산됐다. 투자협약을 체결한 지 2년9개월 만이다.
10일 광주시에 따르면 투자협약을 맺은 조이롱 코리아가 광주 완성차 공장 설립에 실질적 투자의지가 없어 협력 관계를 청산하기로 결정했다. 조이롱 측이 광주에서 전기차를 판매하면 시 예산에서 지급하려던 대당 3000만원의 보조금 지급도 백지화할 방침이다. 광주시는 2016년 3월 민선6기 당시 중국 조이롱 자동차와 2020년까지 2500억원을 투자해 연간 10만대 규모의 완성차와 부품공장을 광주에 설립한다는 투자협약을 체결했다.
6000여명의 직간접적 일자리 창출과 친환경차 생산기지 출범을 기대한 시는 조이롱차와 손잡고 물심양면으로 지원했다. 이후 조이롱 측은 한국법인 조이롱코리아를 설립하고 한국 진출을 위해 올해 5월 국토교통부 산하 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에서 국내인증을 받았다. 환경부도 조이롱 전기승합차인 E6 차량을 친환경 중형 버스로 규정하고 전기차 국고보조금 지급기준에 따라 대당 6000만원의 국비 보조금을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하지만 조이롱 측은 기존 투자 협약과 달리 전기차를 선(先)판매해 시장성을 검증한 뒤 결과에 따라 광주에 공장을 설립하겠다고 입장을 번복했다. 대구의 한 코스닥 상장사와 전기차 위탁판매 계약을 맺기도 했다. 시는 지난 8월 ‘조이롱 코리아 E6 전기차 보조금 심의위원회’를 연기한 데 이어 지난달까지 4차례에 걸쳐 구체적 투자계획서 제출을 요구하는 공문을 보냈다. 지난 10월에는 광주시 실무진들이 중국 조이롱 자동차 본사를 직접 찾아 대표이사 격인 왕릉파 총경리를 만나 투자협약서 준수를 촉구했다. 하지만 조이롱 측은 투자협약 실현에 대한 신뢰할만한 추가 자료를 제출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시는 조이롱 측의 광주 투자에 진정성이 없다고 보고 결별 수순을 밟기로 했다. 시 관계자는 “투자의지와 근거를 담보한 사업 계획서를 제출한다면 대화의 가능성은 열려 있지만 뚜렷한 입장변화가 없어 내부적으로 협력관계를 매듭짓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
광주·中조이롱 투자협약 결별 수순
입력 2018-12-10 1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