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3 대책 이후 전국 아파트 매매가가 서서히 떨어지고 있지만 대전과 광주는 여전히 상승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주간아파트가격동향’에 따르면 지난 3일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가의 하락폭은 전주(11월26일) 대비 확대됐지만 대전과 광주는 각각 0.05%와 0.07%가 올랐다. 서울을 비롯한 전국 아파트 매매가가 평균 0.05% 떨어진 것과는 대조되는 모습이다.
대전은 특히 12주 연속으로 매매가가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인구 밀집지역인 서구와 유성구의 신규 분양시장이 여전히 호조를 보이고, 우수학군이 밀집돼 매매 수요가 꾸준히 높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실제 유성구 도안신도시 5단지 트리풀시티의 경우 전용면적 84.89㎡의 매매 상한가격이 5월 말 기준 4억3500만원이었지만, 지난 3일에는 5억3000만원으로 6개월 만에 1억원 가까이 올랐다. 같은 기간 서구 둔산동 크로바아파트 84.93㎡의 매매 상한가격은 4억4000만원에서 1억4000만원이 오른 5억8000만원을 기록했다.
올해 폭등세를 보이던 광주의 경우 주요 상승지역이었던 서구·남구가 각각 0.17%와 0.08% 오르는 등 정주여건이 양호한 일부 단지를 중심으로 상승세가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여기에 광산구도 상승폭이 낮았던 일부 단지 위주로 오름세로 전환되며 0.03%가 상승했다.
전문가들은 시중에 묶여있던 유동자금이 각 지역으로 흘러 들어가며 아파트 가격이 급등한 것으로 분석했다. 서울·세종 등 투기과열지구에 대한 규제가 심화되자, 상대적으로 부동산 가격이 저평가됐던 대전·광주에 외부 자본이 몰리며 풍선효과가 발생했다는 것이다. 특히 학군과 생활여건이 좋아 전세 수요가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갭 투자 세력이 개입, 부동산 가격의 전체적인 상승을 가져왔다는 설명이다.
정재호 목원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서울과 세종, 경기도권 일부가 현재 규제지역으로 묶인 상황이기에 유동자금이 타 지역으로 흐르고 있다”며 “광주와 대전은 다른 지역에 비해 부동산 가격이 저평가 됐었는데, 투자가치가 높다는 판단 아래 외부 자금이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정 교수는 또 “교육여건이나 생활환경이 좋은 곳을 타깃으로 갭 투자 세력까지 유입되며 부동산 가격이 상승한 것 같다”며 “외부에서 아파트 가격을 올려놓으면 기존 거주자들도 매매가를 따라 올리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것 역시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정부의 강력한 규제와 함께 높아진 기준금리 탓에 두 지역의 아파트 가격은 내년에 강보합세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 다만 신규 분양시장의 상승세 여부가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최주만 한국공인중개사협회 대전지부장은 “대전은 현재 아파트 가격이 최고가를 찍은 상황인데 추가적인 가격 상승 여부는 미지수”라며 “정부의 강력한 규제 때문에 더 이상의 급격한 상승은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다만 대전의 경우 내년에 진행되는 분양 건이 부동산 시장의 변수가 될 수 있다”며 “분양가가 높다면 매매가 상승의 촉진요인이 될 수 있지만, 여기에 규제가 작용한다면 약보합이나 하방안정세로 변모할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
수도권 때리자… 부동산 투자 세력들 대전·광주행 ‘티켓’
입력 2018-12-10 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