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5박8일간의 체코, 아르헨티나, 뉴질랜드 순방을 마치고 4일 오후 귀국했다. 순방 기간 국내 현안에 대해 말을 아꼈던 문 대통령은 공직사회 기강 확립 및 청와대 분위기 일신을 위한 인사를 검토할 예정이다. 다만 야권의 조국 청와대 민정수석 경질 요구에는 응하지 않을 것으로 알려졌다.
여권 관계자는 “조 수석은 민정수석실 산하 반부패비서관실의 특별감찰관 비위 의혹이 터졌을 때 선제적으로 인원 전면 교체를 단행했고, 김종천 전 의전비서관의 음주운전이 적발됐을 때도 사표를 수리하지 않고 직권면직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렇게 선제적으로 고강도 조치를 단행했는데 사퇴를 요구하는 것은 무리한 정치 공세”라고 주장했다.
문 대통령은 귀국 직전에 올린 페이스북 글에서 국민들에게 외교 문제에 더 관심을 가져 달라고 당부했다. 그는 “한반도 평화와 경제성장은 외교적 노력에 크게 좌우되고, 국내 문제와 외교는 결코 따로 떨어져 갈 수 없다”며 “세계의 변화와 외교의 중요성에 대해 국민들께서 좀 더 관심을 가져주시길 바라마지 않는다”고 밝혔다.
앞서 문 대통령은 뉴질랜드 국빈방문 마지막 날인 이날 저신다 아던 총리와 정상회담을 갖고 양국 관계 발전방안을 논의했다. 회담 후 공동기자회견에서 문 대통령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답방에 대해 “연내에 이뤄질 가능성이 있으나 중요한 것은 그 시기보다는 김 위원장의 답방이 북한의 비핵화를 더욱 촉진하고 진전을 이루게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답방 계기에 직접 김 위원장으로부터 비핵화에 대한 약속을 받는 게 중요한 게 아니라 2차 북·미 정상회담 과정에서 더 큰 폭의 비핵화 진전이 이뤄질 수 있도록 촉진하고 중재하고 설득하는 일이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아던 총리는 “북한에 대한 인도적 지원은 2008년 이후로 하지 않았다”며 “많은 요청이 있었지만 비핵화 문제를 먼저 해결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오클랜드=강준구 기자 eyes@kmib.co.kr
귀국한 文 대통령, 靑 인적 쇄신 검토… 조국은 지킬 듯
입력 2018-12-05 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