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7월 서울시가 시작한 ‘찾동(찾아가는 동주민센터)’은 “복지행정의 패러다임을 바꿨다”는 평을 듣는다. 그 전까지 복지행정이라고 하면 동주민센터에 앉아서 찾아오는 사람들을 기다리는 게 일이었다. 찾동은 공무원들이 밖으로 나가 위기 가구를 발굴하고 주민들을 직접 찾아가서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대를 열었다. 서울 4개 자치구에서 시작된 찾동은 서울시내 전 자치구로 퍼졌고 전국으로도 확산되고 있다.
찾동이 시작된 지 4년이 됐다. 서울시는 찾동을 업그레이드한 ‘찾동 2.0’을 내년부터 새로 시작한다. 찾동 2.0의 핵심은 문제 대응력을 보다 고도화하고 정교화하기 위해 행정·복지 서비스에 주민 참여를 대폭 늘리는 것이다. 이를 통해 동주민센터는 공공서비스센터에서 공무원과 주민이 함께 일하는 협치센터로 또 한 번 진화한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3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찾동 2기 마스터플랜에 해당하는 ‘민선 7기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기본계획’을 발표하고 “튼튼한 공적 안전망에 촘촘한 주민관계망을 더해 공공과 주민이 함께 지역사회 변화와 현장을 견인하며 공동체 망을 일궈 나가겠다”고 말했다.
기본계획의 핵심은 지역문제에 대한 주민 결정권을 강화하고 지역 사회보장 체계에 주민 참여를 늘리는 것이다. 우선 주차, 안전, CCTV 설치 등 골목 단위 생활문제에 대해 주민들이 발의하는 ‘골목회의’가 운영된다. 동주민센터 홈페이지 ‘주민발의’ 메뉴를 통해 5명 이상의 주민이 직접 발의하면 골목회의를 통해 해당 사업을 조정할 수 있게 한다.
또 지역 사회보장을 강화하기 위해서 주민 활동을 지원해 주민이 주민을 돌보는 생태계를 조성한다. 독거어르신 밑반찬 제공, 고립가구 안부 확인, 보육반장, 나눔가게 등 다양한 돌봄활동을 펼치는 주민공동체에 대한 지원을 확대한다. 특히 2022년까지 주민모임 5000여개, 골목활동단체 200개를 지원한다. 공무원들을 도와 이웃과 동네를 보살피고 가꾸는 ‘시민 찾동이’도 100만명 양성한다.
찾동 공공사업 중 주민참여 사업을 확대하는 방안도 강구한다. 예컨대, 저소득 주민에 대한 도시락 배달을 주민자치회 위탁사업으로 추진한다거나 청소년 직업체험교육을 동네 소상공인 상점에서 진행하는 등 다양한 방식을 시도해볼 수 있다.
위기가구 발굴에 이어 이들에 대한 복지 서비스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한다. 동주민센터 안에 72시간 내 찾아가는 맞춤형 서비스인 ‘돌봄SOS센터’를 새로 설치한다. 서비스를 신청하면 돌봄매니저가 72시간 내 집을 방문해 돌봄욕구를 파악한 뒤 필요한 서비스를 연계해준다.
이태수 서울시 찾동추진운영위원회 위원장은 “찾동 이후 위기가구 발굴·지원은 월평균 31가구에서 102가구로, 현장방문은 월평균 57회에서 153회로 증가했다”며 “서울시가 지난 4년간 인건비 1500억원을 투입해 찾동 복지인력을 2788명 증원했기 때문에 찾동이 성공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
서울시 ‘찾동 2기’… 일상 정책 논하는 주민 ‘골목회의’ 생긴다
입력 2018-12-03 2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