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죄까지 해놓고… ‘조국 수석 지키기’ 총대 멘 민주당

입력 2018-12-03 19:02
더불어민주당 이해찬 대표와 홍영표 원내대표 등 당 지도부가 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당대표·최고위원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손을 맞잡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윤성호 기자

“뇌물 받아먹은 게 아니다” “조국은 문재인 대통령과 함께할 동반자다” “조국은 촛불정권 상징이다.”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3일 조국 청와대 민정수석을 두둔하며 쏟아낸 말들이다. 청와대 특별감찰반(특감반) 직원들의 연이은 비위에 대한 책임론이 거세지자 당대표부터 의원들까지 “조 수석을 흔들지 마라”며 일제히 감싸고 나선 것이다. 전날 당 대변인이 청와대를 대신해 내놓은 ‘사죄 논평’을 수정하는 촌극도 빚어졌다.

이해찬 대표부터 총대를 멨다. 그는 이날 취임 100일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최근 청와대 신분을 활용한 사례가 있어 감찰 과정에서 문제가 지적되고 신속히 처리하는 과정이 있었다”며 “야당에서 조 수석 경질을 요구하는데 야당의 정치적 행위라고 본다”고 주장했다. 이 대표는 “(이번) 사안은 큰 거 아니다. 처세 잘못한 것이지 뇌물 받아먹은 게 아니다”며 “그런 걸 다 책임지면 하루에도 몇 번씩 책임져야 하기 때문에 야당의 정치공세는 전혀 고려치 않는다”고 했다.

소속 의원들도 방패막이 역할을 자처했다. 손혜원 의원은 페이스북에 “문 대통령과 마지막까지 함께할 단 한 분의 동반자를 꼽는다면 단연 조 수석”이라고 했고, 표창원 의원도 “조 수석 흔들지 맙시다”라고 했다. 김한정 의원은 “조 수석을 낙마시키면 그 다음 표적은 누구인가”라며 “조 수석을 두고 총질할 때가 아니다”고 했다. 전날 같은 당 조응천 의원이 “민정수석이 먼저 사의를 표해 대통령의 정치적 부담을 덜어드려야 한다”고 말한 것을 겨냥한 발언이다. 안민석 의원은 더 나아가 “촛불정권의 상징인 조국이 꺾이면 촛불정신이 사그라질 것”이라고 했다.

전날 “국민 여러분께 깊은 사죄를 드린다”고 했던 이재정 대변인은 말을 미묘하게 바꿨다. 이 대변인은 “조 수석의 역할에 더욱 힘을 실어줘야 한다는 게 민주당 입장임을 수차례 강조했다”, “청와대의 개혁 의지와 함께하겠다”며 전날 논평을 두 번이나 ‘재논평’했다.

하지만 당 물밑에선 우려가 적지 않다. 한 의원은 “조응천 의원 의견이 맞다. 이렇게 사달이 벌어졌으면 민정수석이 책임을 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의원이 많을 것”이라며 “다만 당이 ‘너무 확 밀리는 것 아닌가’라는 생각에 보호막을 쳐주고 대통령이 와서 결단케 하려는 것 같다”고 전했다. 다른 중진 의원도 “조 수석의 책임이 없다고 볼 순 없다”며 “다만 여당에서 거취 문제를 이야기하는 것은 좋지 않기 때문에 유구무언”이라고 했다. 다른 의원도 “청와대에서 아직 입장을 안 낸 상황이기 때문에 청와대에 기회를 줘야 한다”면서도 “야당 입장에서는 조 수석이 자리를 지키고 있으면 물고 늘어지기에 더 좋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자유한국당과 바른미래당은 조 수석의 사퇴를 거듭 촉구하며 공세를 이어갔다. 김성태 한국당 원내대표는 비상대책위원회 회의에서 “나사 풀린 청와대는 사실상 풀린 나사를 조일 드라이버조차 없다”며 “특감반을 관리·감독해야 할 조 수석은 국회에는 안 나오면서 자기정치를 하느라 SNS에만 빠져 있다”고 지적했다.

바른미래당은 특감반 비위를 따져묻기 위해 여당에 국회 운영위원회 소집을 요청했다. 김관영 원내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문 대통령은 조 수석을 경질해 청와대의 흐트러진 기강을 바로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성수 이형민 김성훈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