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답 내놓은 한·미, 김정은의 현명한 선택만 남았다

입력 2018-12-03 04:05
2차 북·미 정상회담이 이르면 내년 1월이나 2월에 열릴 듯하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밝힌 것이어서 가능성은 높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 같은 언급은 북·미 고위급 접촉이 잇따라 무산되면서 어두워진 북·미 비핵화 협상 전망을 기대 쪽으로 돌려놓기에 충분하다. 트럼프 대통령은 “(2차 북·미 정상회담 장소로) 세 곳을 검토 중”이라고 밝히는 등 2차 북·미 정상회담 개최에 적극적이다.

부에노스아이레스 한·미 정상회담의 긍정적 효과다. 지난달 30일(한국시간) 열린 한·미 정상회담의 성과는 트럼프 대통령의 북·미 정상회담 개최 의지를 확인하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서울 답방에 대한 미국의 지지를 이끌어낸 점이다. 남북 및 북·미 정상 간 담판을 통해 비핵화 로드맵에 더욱 속도를 내야 한다는 두 정상의 의지를 전 세계에 보여준 것으로, 김 위원장의 결단을 촉구하고 압박하는 측면도 없지 않다.

북·미 양측은 ‘동시적·단계적 대 선 비핵화 후 제재 해제’를 놓고 팽팽한 기싸움을 계속 중이다. 시간은 미국 편이다. 북한이 시간을 끌수록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가 위력을 더 발할 것은 불문가지다. 그 고통은 고스란히 북한 몫이다. 문재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도 “북한이 완전한 비핵화를 달성하기 전까지는 기존 제재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한 마당이다. 김 위원장이 결단할 때가 됐다. 한·미 정상회담 결과를 설명하고 김 위원장의 답방을 설득하기 위한 대북 특사 파견 얘기가 나오는 이유다.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은 2차 북·미 정상회담으로 이어져 한반도 비핵화 길을 앞당기는 결정적 계기가 될 게 거의 확실하다.

북한은 2일 대외 선전매체 메아리를 통해 한·미 연합훈련인 독수리훈련을 포함한 모든 훈련의 중단을 요구했다. 한반도 비핵화가 갈림길에 선 중차대한 시기에 지엽적인 문제로 한반도에 불필요한 긴장을 조성하는 행위는 자제돼야 마땅하다. 9월 평양 정상회담 이후 남측이 취한 군사적 양보 조치들을 모를 리 없는 북한이다. 가시적인 비핵화 후속 조치 없이 이런 터무니없는 주장을 펴니 김 위원장의 비핵화 의지가 자꾸 시험대에 오른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좌고우면하지 말고 한·미 정상이 내민 대화의 손을 덥석 잡을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