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軍공항 이전 ‘주민 반대’ 난기류

입력 2018-11-30 04:00
5일 오전 하늘에서 바라 본 광주 광산구 광주공항. 뉴시스

광주 군(軍) 공항 이전사업이 난기류에 휩싸였다. 민선 7기 이후 광주시와 전남도가 상생발전 차원에서 민간공항 통합, 군 공항 이전에 합의했지만 유력 후보지 주민들이 반발하고 있기 때문이다.

광주시와 전남도는 “유력한 군 공항 이전 후보지로 거론된 무안 주민들의 반대운동이 잇따르고 있다”고 29일 밝혔다. 김산 무안군수와 무안 청계면 기관사회단체장들은 전날 청계면사무소에서 대책회의를 갖고 군 군항 이전 반대를 결의했다. 대책위를 꾸린 이들은 청계면 번영회장을 대책위원장으로, 이장협의회장 등 4개 단체 대표와 축산농가 대표 1명 등 5명을 부위원장으로 선출했다.

무안국제공항에 인접한 무안 운남면 기관단체협의회도 이날 운남농협에서 대책위를 구성하고 이전 반대운동에 나서기로 했다. 대책위는 사회단체장과 마을이장, 부녀회장 등 100여명을 당연직 위원으로 위촉했다.

앞서 해제면 이장협의회와 무안군의회도 지난 26일과 19일 군 공항 이전사업이 졸속으로 추진되고 있다며 이전 반대 결의문을 채택했다. 결의문에는 무안공항 활성화를 위한 광주 민간공항 통합 이전은 차질 없이 이행돼야 하지만 군사공항 이전은 즉각 중단돼야 한다는 요구가 담겼다. 무안군의회는 특별위를 구성해 지속적 반대운동을 펼치기로 했다.

국방부는 당초 올해 말까지 예비 이전 후보지를 선정한다는 방침을 세웠지만 유력 후보지인 무안지역 주민들의 반대 움직임에 따라 군 공항 이전은 난항이 예고되고 있다. 반대가 예상보다 거세 합의가 무산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앞서 지난 8월20일 이용섭 광주시장과 김영록 전남지사는 2021년까지 광주 민간공항과 무안국제공항을 통합하고 군 공항도 2028년까지 전남으로 이전한다는 데 원칙적으로 합의했다. 민간공항과 군 공항 이전을 분리해 접근하던 기존 방식을 탈피한 대타협으로 상생발전의 틀을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광주시 군공항이전추진본부 관계자는 “군 공항 이전은 지난 10여년간 지역의 ‘뜨거운 감자’였다”며 “무안 등 이전 후보지 주민들과 꾸준히 소통해 인구유입과 재정지원이 획기적으로 이뤄지는 군 공항을 거부감 없이 받아들일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전추진본부는 군 공항을 유치하는 지자체에 4508억원을 들여 각종 주민지원 사업을 진행한다고 밝힌 바 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