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지역 중·고교 학생 가운데 학교생활 부적응으로 매년 1400여명이 학업을 중단하지만 이들 가운데 8%만 대안학교에서 위탁교육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대안교육에 대한 대책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27일 부산시교육청에 따르면 2014년 이후 5년간 학교생활 부적응으로 학업을 중단한 중·고교생은 해마다 평균 1400여명에 달한다. 지난해의 경우 학교를 떠난 중·고교생 1351명 가운데 92%(1240명)가 대안교육 위탁교육기관 경험 없이 학교를 떠난 것으로 조사됐다. 올해는 10월까지 학업을 중단한 중·고교생 807명 중 97%(783명)의 학생이 대안교육 경험 없이 학업을 중단했다.
대안교육 위탁교육기관은 일반 학교와 달리 인성·예술·문화·진로교육 등의 대안교과를 운영하는 교육기관이다. 시교육청은 학교생활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 또는 학업중단 위기에 있는 학생들에게 좀 더 유연한 공간 안에서 제2의 교육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대안교육 위탁교육기관을 지정·운영하고 있다.
현재 시교육청이 지정·운영하고 있는 대안교육 위탁교육기관 중 학교부적응 학생을 맡고 있는 대안교육시설은 부산자유학교와 양정중학교 등 4곳으로 230여명의 학생들이 위탁교육에 참여하고 있다.
이에 따라 부산시의회 조철호 의원은 최근 부산시교육청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학업중단예방 시스템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개선을 촉구했다. 조 의원은 “대안교육 위탁교육기관이 학업중단 위기에 있는 학생 지원을 위한 장치로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에 대한 점검과 개선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
부산 학교부적응 학생 8%만 대안교육
입력 2018-11-27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