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정의 카드수수료 개편방안 발표에 카드업계는 발칵 뒤집혔다. 연 매출 5억∼500억원 카드 가맹점의 수수료를 0.22∼0.65% 포인트씩 줄여주는 방안에 카드업계는 26일 “연 매출이 수백억원인 업체는 자영업자가 아니라 기업이다. 이게 영세 자영업자를 위한 대책이 맞느냐”며 강하게 반발했다. 한 카드업계 관계자는 “카드 소비자들에게 제공되던 무이자 할부, 포인트 적립 등의 혜택은 크게 줄어들 것”이라고 내다봤다.
카드업계 노동자들은 대정부 투쟁을 예고했다. 카드사노동조합협의회는 이날 오전 7시쯤 국회 당정협의 회의장을 찾아 최종구 금융위원장 면담을 요청했지만 거부당했다. 이들은 보도자료를 내고 “대한민국 모든 신용카드사들은 적자를 감수하고, 노동자는 거리에 나 앉으라는 정책”이라며 “원칙 없는 일방적인 수수료 인하 시도에 맞서 총파업을 불사하겠다”고 밝혔다.
금융 당국은 무이자 할부 등 과도한 마케팅 비용을 줄이면 1조4000억원의 수수료 절감 여력을 카드사들이 감내할 수 있다고 본다. A카드사 관계자는 “카드사가 고객에게 마케팅 비용을 쏟는 건 경쟁을 통해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고객의 선택을 받기 위한 것”이라며 “정부 방침은 서로 경쟁도 하지 말고 시장점유율이 떨어지는 업체는 그대로 망하라는 의미”라고 말했다. B카드사 관계자는 “솔직히 영세 자영업자들이 어려운 이유는 최저임금 인상, 임대료 부담 아니냐”며 “연 매출 100억원, 300억원에 달하는 일반 가맹점의 수수료율을 낮춰주는 게 영세 자영업자에게 어떤 혜택으로 돌아가는지 되묻고 싶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카드 사용자가 누리던 부가서비스 혜택은 점진적으로 축소된다. 앞으로 블랙 프라이데이 등 쇼핑 시즌을 맞아 제공되던 할인 혜택 등은 사라질 전망이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카드사의 무이자 할부, 캐시백·포인트 혜택 등은 중지될 것으로 보인다”며 “그동안 고객 혜택이 축소된다는 이유로 승인되지 않던 약관 변경 등도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정부는 신용카드를 통한 할부 결제를 축소하고, QR코드 등을 통한 직불 결제 시스템을 확산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런 추세에서 빅데이터를 이용한 컨설팅 업무 등은 별 다른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게 카드업계의 반응이다. C카드사 관계자는 “KT 통신구 화재 사건만 봐도 신용카드가 개인 소비생활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알 수 있다”며 “당장 주 수익원인 신용 판매에서 수익을 내지 못하는데 빅데이터 규제 법령이 다 풀리고 그걸로 수익을 낼 때까지 버틸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양민철 기자 listen@kmib.co.kr
카드업계 “연 매출 수백억 업체가 자영업체인가” 반발
입력 2018-11-27 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