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이 다음 달 초부터 김병준 비상대책위원회 이후 당을 이끌 지도부 선출 방식과 지도체제를 논의하는 당헌·당규개정위원회(개정위)를 가동한다. 현행 당대표 ‘원톱’ 체제의 단일성 집단지도체제를 유지할지, 권력분산형 집단지도체제로 개편할지를 두고 벌써부터 갑론을박이 뜨겁다. 내년 2월 말 전당대회를 앞두고 차기 주자들 간 샅바싸움도 본격화될 조짐이다.
김용태 사무총장은 25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개정위가 12월 초부터 한 달간 당헌·당규 개정안을 논의해 확정한 뒤 곧바로 전당대회준비위를 구성해 전대 준비에 들어간다”고 말했다. 비대위는 ‘전대 룰’에 대해서는 계파 간 공정성 시비에 휘말릴 수 있는 만큼 변화를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다만 지도체제만큼은 당내 개편 요구가 만만치 않아 검토하지 않을 수 없는 실정이다.
한국당은 한나라당 시절인 2004년 이후 당대표가 최고위원과 동등한 의결권을 갖는 집단지도체제를 이어오다가 2016년 20대 총선 패배를 계기로 당무결정권 등 당대표 권한을 대폭 강화한 단일성 집단지도체제로 개편했다. 입후보 단계부터 당대표 후보와 최고위원 후보를 분리하도록 선출 방식부터 바꿨다.
하지만 당내에서는 “홍준표 전 대표 시절 당대표의 독주로 인해 당 이미지와 당내 민주주의가 훼손된 만큼 집단지도체제로 회귀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지난달 비대위 산하 정당개혁위가 공개한 당원 설문조사에서도 64%가 집단지도체제 복원을 선호했다. 차기 당권주자로 거론되는 복당파 좌장 김무성 의원도 “계파 갈등을 넘어 우파 통합을 위해 집단지도체제로 가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또 다른 주자인 정우택 의원은 “다음 지도부는 21대 총선을 치러야 하는데 집단지도체제로는 아무것도 결정하지 못할 것”이라며 “당이 위기일 때는 차라리 단일지도체제가 낫다”고 말했다. 과거 김 의원이 새누리당 대표 시절 친박근혜계 최고위원들이 당대표와 사사건건 마찰을 빚어 최고위원회가 ‘봉숭아학당’이 됐던 일이 재현될 수 있다는 의미다. 일각에서는 집단지도체제로 회귀하되 긴급 현안에 한해 당대표 결정권을 보장하는 대안도 거론된다.
이종선 이형민 기자 remember@kmib.co.kr
원톱이냐 집단지도체제냐… 한국당, 벌써부터 ‘룰의 전쟁’
입력 2018-11-25 18: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