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설케어로봇과 고시원 화재경보기, 장기저리 금융지원까지….’
민선 7기 전국 지자체들이 사회적 약자와 소외계층을 위한 맞춤형 정책발굴에 선의의 경쟁을 펼치고 있다. 사회적 안전망을 구축해 더불어 사는 공동체를 만들자는 취지다.
전남 광양시는 “산업자원부 산하 한국로봇산업진흥원과 함께 사회적 약자 편익지원 사업에 착수한다”고 25일 밝혔다. 시와 진흥원은 전남테크노파크, 로봇기업 등으로 구성된 컨소시엄을 통해 어르신과 장애인 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스마트 토이봇’과 ‘배설케어로봇’ 보급에 나서게 된다. 시는 내년 상반기부터 전국 최초로 로봇을 활용한 사회적 약자 편의지원 사업을 벌이는데 장기요양환자와 중증장애인들이 우선 지원대상이다.
손자·손녀 모습의 친근한 봉제인형 형태인 스마트 토이봇은 가족 부재로 외로움에 시달리는 노인들의 안전·건강관리에 도움을 주게 된다. 비데기능을 갖춘 배설케어로봇은 혼자 대소변 처리가 어려운 어르신들의 생활여건을 개선해준다.
경기도는 고시원 화재사건을 계기로 내년 3월까지 화재에 취약한 2584곳의 고시원 10만실에 화재경보기를 설치한다고 밝혔다. 도는 이에 앞서 오는 12월 7일까지는 고시원 스프링클러 의무화 이전에 건축된 노후 고시원 585곳 2만실에 소방안전점검을 실시하고 화재감지기 2만개를 설치하기로 했다.
대전시는 다문화가족을 배려하기 위해 민원실에 전담창구를 개설했다. 전담창구에는 영어와 중국어 상담원이 배치돼 한국생활이 낯선 다문화 가족에게 올해만 483건의 다양한 행정서비스를 제공했다. 또 저소득층과 장애인 고령자 등의 눈높이에 맞춘 소비생활센터와 법률홈닥터제도 운영 중이다. 소비자단체 인력과 변호사가 소비생활과 법률적 자문이 긴요한 각종 송사 등에 도움을 주고 있다.
서울시는 지난달부터 공공시설 여자화장실 10곳에 비상용 생리대자판기를 설치하는 시범사업에 들어갔다. 원미혜 서울시 늘푸른 여성팀장은 “저소득층뿐 아니라 생리대를 미처 준비하지 못한 여성들의 고민을 덜어주는 차원”이라고 말했다. 시는 시범사업 결과를 토대로 자판기 설치기관을 확대할 방침이다.
광주시는 저신용으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서민들에게 ‘빛고을론’ 13억여원을 장기저리로 지원하고 있다. 신용회복위원회에서 채무조정을 받으면서 6개월 이상 성실하게 채무를 상환 중인 ‘금융소외자’ 400여명에게 1500만원 범위에서 학자금 등을 빌려주는 것이다. 고금리대출 상환자금, 영세사업장 비품 시설물 교체비용도 각각 2%와 4% 이내 저리로 5년 상환조건에서 대출 혜택을 제공한다.
광주=장선욱 기자, 전국종합 swjang@kmib.co.kr
지자체들 ‘소외계층 돕기’ 적극 나섰다
입력 2018-11-25 2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