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대갈등 극심… ‘노키즈존’처럼 ‘노노인존’ 나올 수 있다”

입력 2018-11-22 18:49 수정 2018-11-22 21:45

노인혐오와 이에 따른 세대갈등이 극심해지면서 ‘노키즈존’처럼 ‘노노인존’이 출현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송오영 국가인권위원회 사회인권과장은 22일 서울 중구 인권위에서 열린 ‘노인인권 증진을 위한 토론회’에서 토론자로 나서 “앞으로 노인의 출입을 막는 ‘노노인존’이 나올 수 있다”고 밝혔다. 송 과장은 “노인을 지칭하는 말이 과거 ‘노인네’ ‘꼰대’ 수준을 넘어 ‘노인충’ ‘틀딱충’ ‘할매미’ ‘연금충’ 등으로 변화하고 있다”며 “노인혐오가 심각해지면 노인이 노인이라는 이유만으로 배제와 차별의 대상이 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정순둘 이화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도 “노인 차별이 한국에서 유난히 높게 나타난다”며 우려를 더했다. 정 교수가 유럽위원회와 세대공생연구팀 등의 자료를 인용해 한국을 포함한 16개 국가의 노인차별적 태도에 대한 문답을 비교한 결과, 한국인의 45%는 ‘노인층이 사회에 부담’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다른 국가에 비해 월등히 높은 수치다. ‘노인복지에 더 많은 예산을 지출해야 한다’는 의견에도 한국은 가장 낮은 동의를 보였다.

세대 통합을 위해서는 가족주의와 효 사상을 오히려 경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박경숙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는 “가족은 정서적 사랑과 안정, 자녀의 돌봄·교육·결혼·취업, 노인부양까지 과도한 기능을 떠맡고 있다”며 “가족에게 주어진 과도한 경제적 부담을 사회화하고 가족은 정서적 기능을 중심으로 본래적 역할로 자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토론자인 임홍재 아셈노인인권정책센터 원장은 “전통적 가족주의에 기초한 사회구조에서 탈피해야 한다는 의견에 동감한다”며 “정부의 역할과 사회안전망 제도를 확대함으로써 개인과 가족 중심의 부양에서 사회의 책임으로, 가족중심의 가치관에서 시민사회적 연대의 가치관으로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권중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