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대덕구 신탄진역 인근 도로는 자전거를 타는 이들에게는 주의 깊게 주행해야 하는 곳으로 꼽혀왔다. ‘자전거 사고다발지역’ 중 한 곳이기 때문이다.
자전거 사고다발지역은 반경 200m 내 4건 이상(사망사고 포함시 3건) 사고가 발생한 곳을 의미한다. 자전거나 차량 운전자의 부주의로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지만 도로 자체가 사고 위험을 높이는 경우도 있다. 신탄진역 인근 도로는 자전거 도로가 단절돼있고 주유소 진입을 위해 차량이 보행자를 살피지 않는 경우가 많아 사고 위험이 높았던 것으로 보인다.
지난 9월 이곳은 도로개선사업이 진행됐다. 행정안전부는 단절됐던 1.1㎞ 구간의 자전거 도로를 연결하고 횡단보도를 설치했다. 또 자전거와 보행자가 다닐 수 있도록 도로를 정비해 사고 위험 요소를 없앴다.
행안부는 특정지역에서 교통사고가 빈발하는 것은 도로의 구조적 결함이나 안전시설 미비로 인한 탓이 크다고 보고 집중 정비 사업을 벌이고 있다. 지난해에는 전국 15곳의 위험지역 정비를 완료했다. 행안부 관계자는 21일 “2016년도 8곳의 사고 위험도로 개선사업을 진행한 결과 사고 감소효과가 90%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자전거 이용자 수는 매년 늘어나 1300만명을 넘어섰고, 자전거 교통사고 사망자 비율도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행안부에 따르면 2013년 전체 교통사고 사망자(5092명) 중 5.5%였던 자전거 사고 사망자 비율은 2015년 6.0%로 늘어났다. 지난해 이 비율은 6.3%까지 증가했다.
안전한 자전거 이용을 위해서는 자전거 인프라를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자전거 이용자가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공간 자체가 늘어나야 사고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행안부의 자전거도로 현황 자료를 살펴보면 자전거 전용도로와 자전거보행자겸용도로 등 관련 도로는 2015년 2만507㎞, 2016년 2만1176㎞, 지난해 2만2315㎞로 매년 늘어나고 있다. 행안부는 자전거 이용자가 직접 자전거길을 다니며 안전점검에 나서는 ‘국토종주 자전거길 현장점검 투어단’도 운영 중이다. 투어단은 지난해 100여건의 점검사항을 제출했다.
안전한 이용문화 확산도 자전거 안전을 위한 과제로 꼽힌다. 실제로 지난해 자전거 교통사고 가해자의 법규 위반 유형을 살펴보면 안전운전 의무 불이행이 64.9%로 가장 많았다. 지난해 기준 전국 66곳에서 11만476명을 대상으로 자전거 안전교육을 진행했다. 시청각 교육 뿐 아니라 체험 훈련까지 이뤄진다. 또 최근 개정된 도로교통법을 적용해 자전거 음주운전 범칙금 부과, 자전거 헬멧 착용을 의무화하는 등 안전수칙 준수를 강조하고 있다.
특히 어린이 자전거 안전이용에 대한 지도 필요성이 요구된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의료센터가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자전거 사고로 인한 응급의료 현황을 분석한 결과 9세 이하 어린이는 머리 손상(50.0%)이 가장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행안부는 어린이 자전거 안전모쓰기 및 안전교육을 통해 안전장구 착용법, 올바른 자전거타기 자세 등을 실습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조봉업 행안부 지역발전정책관은 “안전은 작은 실천에서부터 시작된다”며 “안전한 자전거 이용문화가 정착될 수 있도록 국민들의 참여와 협조를 요청드린다”고 말했다.
김유나 기자 spring@kmib.co.kr
도로 정비·이용자 교육… 안전한 자전거 문화 확산
입력 2018-11-22 19:29 수정 2018-11-22 2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