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년이 기존 행정 관행과는 다른 방식으로 정책을 개편하는 기간이었다면 내년에는 ‘네트워킹’ 강화에 신경을 쓸 계획이다.”
홍종학(사진)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19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취임 1주년 기자간담회를 갖고 그간 중기부 성과와 내년 계획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홍 장관은 “한국은 하드웨어는 잘 갖춰졌는데 이를 잘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며 “세계적 수준의 대기업과 유수한 연구기관·대학이 독립적 혁신에 치중하느라 서로 간의 네트워킹이 부족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앞으로 대기업, 중소기업, 대학·연구기관 사이 기술 교류가 활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힘을 쓰겠다”고 강조했다.
홍 장관은 ‘정부와 중소기업인·소상공인 사이에 현실인식 차이가 크다’는 지적에 “중소기업인과 소상공인이 겪는 어려움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고 정부가 이를 100% 해결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면서도 “높은 카드결제 수수료로 인한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만든 ‘제로페이’나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 개정 등을 통해 이들을 돕고 있다”고 말했다.
대·중소기업 협력이익 공유제에 대해선 “폐쇄·종속적 관계의 구조적 문제가 있어 대기업이 중소기업을 돕도록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라며 “법제화는 세제 지원 등을 위한 것으로 공공조달에서 잘하는 기업, 신기술 제품 기업, 대·중소기업 협력 기업에 우선권(인센티브)을 주는 것은 당연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향후 주요 추진 계획으로 ‘개방형 혁신 확산을 통한 유니콘 기업 창출’ ‘지역별 신사업 육성’ ‘스마트 공장 확대’ ‘일자리 창출 기업 우선 지원’ ‘수요자 입장에서의 소상공인 지원 방안 발굴’ 등을 제시했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
홍종학 “대·중소기업·대학간 기술 교류 활발토록 힘쓸 것”
입력 2018-11-19 18: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