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이 2016년 20대 총선 당시 ‘진박(진실한 친박근혜계) 공천’ 논란에 관여한 인사 및 최순실 국정농단 사건 연루자 등을 인적 쇄신 대상으로 정하고 관련 논의에 착수했다. 중앙정치에서 존재감을 드러내지 못한 영남지역 다선 의원들도 물갈이 대상에 포함시킨다는 방침이다. 다음 달 중순 조직강화특별위원회(조강특위)의 당협위원장 교체 지역 발표를 앞두고 당 안팎에서는 벌써부터 텃밭인 대구·경북(TK)을 포함해 10명 안팎의 현역의원 이름이 거론되고 있다.
한국당 핵심 관계자는 18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오늘날 당이 이 지경으로까지 추락한 배경을 보면 그 시작점이 2016년 총선 공천에 있다”며 “당시 공천 과정에 핵심적으로 관여했던 분들의 책임을 상세히 들여다볼 것”이라고 말했다. 20대 총선에서 한국당 전신 새누리당은 박근혜 당시 대통령으로부터 ‘배신의 정치’라는 비난을 들었던 유승민 의원을 비롯해 비박계 의원들을 대거 컷오프(공천배제)시키고 진박 인사들을 TK 지역구 곳곳에 공천했지만 더불어민주당(123석)에 패했다. 의석수도 122석으로 19대 국회에 비해 35석 줄었다.
당시 진박 공천에 관여했거나 이를 통해 공천받은 인사들을 조강특위의 당협위원장 교체 심사에서 솎아내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조강특위는 이를 비롯해 최순실 국정농단 사건 당시 이를 방치하고 조장했던 인사, 대선 패배의 계기가 된 당 분열의 책임자 등도 교체 대상으로 다음 달 중순까지 매주 4∼5차례 회의를 하며 인적 쇄신 작업에 속도를 높인다는 방침이다.
조강특위는 대여(對與) 투쟁에 소극적인 영남지역 다선 의원 교체 의지도 내비쳤다. 조강특위 관계자는 “보수정당 공천만 받으면 당선이 보장됐던 TK 등 영남에서 당선된 뒤 중앙정치에 기여하지 않고 지방에서 터줏대감 노릇만 한 사람이라면 초선이든 다선이든 가리지 않고 (당협위원장에서) 물러나야 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유능하고 참신한 신인을 영입하기 위해서라도 정치지형상 유리한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한 인적 쇄신이 불가피하다”고 덧붙였다. 20대 총선에서 진박 공천 수혜자 대부분도 TK 지역구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TK에서 대규모 물갈이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당 관계자는 “현역 의원의 경우 이번 쇄신 작업이 곧바로 의원직 박탈로 이어지지는 않지만 다음 총선과 연결돼 있다. 당 쇄신에 대한 당원과 국민적 관심이 있기 때문에 다음 지도부도 쉽게 못 뒤집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교체 대상인 현역 의원을 대신할 새 당협위원장 후보 영입 문제가 변수다. 한국당은 6·13 지방선거 패배 이후 비상대책위원장과 조강특위 외부위원 인선에서도 구인난을 겪었다. 인재 영입이 난항에 부닥칠 경우 당초 예상보다 인적 쇄신 폭이 좁아질 수밖에 없다. 또 친박계 등 특정 계파만 교체될 경우 계파 갈등이 폭발할 가능성이 높다.
이종선 심우삼 기자 remember@kmib.co.kr
진박 공천 관련자, 영남 다선의원, 국정농단 연루자… 한국당의 쇄신 기준
입력 2018-11-19 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