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란 지붕 아래 두 개의 분리된 입구를 지닌 결핵 환자용 격리병동. 유진벨재단(회장 스티븐 린튼)은 경기도의 한 공장에서 격리병동 20개를 제작했지만 대북 제재로 북한에 보낼 수 없었다. 바닥에 설치된 스테인리스 보일러 관 등이 반입 금지 품목이었던 탓이다.
재단은 지난 16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북한의 결핵 치료 지원의 어려움을 호소했다. 스티븐 린튼 회장은 “대북 제재 등의 영향으로 우리와 함께 북한 결핵 환자를 돕던 ‘글로벌펀드’가 지원을 중단키로 했다”며 “그 공백으로 인한 결핵약 공급 차질을 막으려면 정부와 국제기구, 민간단체가 힘을 합쳐야 한다”고 말했다. 린튼 회장은 지난달 16일부터 지난 6일까지 북한을 방문했다.
북한에는 일반 약으로 치료할 수 없는 다제내성 결핵 환자가 최대 8000명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올해 재단에서 1200명, 글로벌펀드에서 1000명의 환자에게 약을 지원했다. 전체 환자의 27.5%만 치료받은 셈이다.
린튼 회장은 “일반결핵약은 2020년까지, 다제내성결핵약은 이번 가을 등록한 환자분까지만 남아있다”며 “글로벌펀드의 공백을 메우는 데만 200만∼300만 달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북한에 약을 보내려면 해상운송과 통관 검역 절차를 거쳐야 해 9개월이 걸린다. 내년 상반기까지 약을 주문해야만 결핵약 부족 사태를 막을 수 있다.
그는 “결핵은 사람을 3∼5년에 걸쳐 죽이기에 응급 질환이란 인식이 부족하다”며 “결핵 퇴치를 위해 검사 장비를 지원하는 남북협력사업은 유엔 안보리의 대북제재 영향을 받지 않는 순수한 인도주의적 협력이기에 우리가 실천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동우 기자 love@kmib.co.kr
“북에 결핵약 공급 차질 막으려면 한국정부·국제-민간기구 힘 모아야”
입력 2018-11-19 0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