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에 지어진 전북 고창 무장현 관아와 읍성(사적 제346호)에서 국내 최초의 시한폭탄으로 알려진 비격진천뢰(飛擊震天雷·사진)가 무더기로 출토됐다.
호남문화재연구원(원장 윤덕향)은 무장읍성 발굴조사 중 구덩이 유적과 그 주변 퇴적토에서 비격진천뢰 11점을 발견했다고 15일 밝혔다.
이 폭탄은 임진왜란 발발 전인 1592년 선조 때 화포(火砲) 장인인 이장손이 발명한 것으로 전해진다.
외형은 무쇠 재질 원형 박 모양이고 내부에는 화약과 쇳조각, 발화 장치인 죽통(竹筒)이 들어 있다. 화포를 통해 발사하면 시간이 흐른 뒤 굉음과 섬광을 내면서 터져 수많은 파편을 쏟아냈다.
조선왕조실록 선조 25년(1592) 9월 1일 기사에는 “성 밖에서 비격진천뢰를 발사해 진 안에 떨어뜨렸다. 적이 그 제도를 몰랐으므로 다투어 구경하면서 만져보는 중에 조금 있다가 포(砲)가 터지니 소리가 천지를 진동하고 쇳조각이 별처럼 부서졌다”는 대목이 있다.
이번에 나온 비격진천뢰는 지름 21㎝, 무게 17∼18㎏으로 크기가 비슷하다. 지금까지 학계에 보고된 비격진천뢰는 모두 6점이다.
강주화 기자 rula@kmib.co.kr
국내 최초 시한폭탄 ‘비격진천뢰’ 고창서 무더기 출토
입력 2018-11-15 1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