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여당의 강력한 지지를 받고 있는 광주형 일자리 추진과 관련해 한국노총이 광주광역시에 현대차와의 협상을 일임했다.
광주시 투자유치추진단은 14일 자정까지 진행된 3차 회의에서 합의문 도출에 성공했다. 이병훈 광주시 문화경제부시장과 윤종해 한국노총 광주지역본부의장은 “현대차 투자유치와 관련한 최종 협상은 합의정신이 훼손되지 않는 범위에서 협상팀에 일임한다”는 데 동의했다.
합의문에는 신설법인 설립 과정에서 투자유치추진단의 실무 역할을 강화하고 2019년 2월까지 상설 노·정 협의기구를 설치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미래자동차산업 발전을 위한 자동차산업정책연구원 설립 추진을 위해 공동으로 노력한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광주형 일자리는 그간 임금규모, 근로시간 등 주요사안에 대한 노사 의견차가 커 추진에 난항을 겪어 왔다. 하지만 이번 노·정 합의로 최종담판을 위한 추진단의 행보가 탄력을 받게 됐다. 광주시와 현대차는 이날부터 최종담판을 진행한다.
다만 민주노총 산하 전국금속노조는 여전히 광주형 일자리에 반대하고 있다. 일각에선 민주노총과 현대·기아차 노조가 총파업을 예고하며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노·사·정 합의 국면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금속노조 소속 현대차 노조는 전날 서울 양재동 현대차 본사를 방문해 광주형 일자리 추진에 대한 항의서한을 전달했다. 앞서 10일 확대운영위에서는 협약 체결 시 총파업에 나설 것을 결정했다. 금속노조 기아차 지부 역시 “3만 조합원의 고용을 위협하는 광주형 일자리를 총파업 투쟁으로 분쇄할 것”이라고 밝혔다. 노조는 “기존 완성차 공장 지역과 갈등만 유발할 것”이라며 금속노조, 현대중공업, 한국GM 등과도 공동연대 투쟁을 전개하겠다고 했다.
일각에서는 광주시가 산업은행에 광주형 일자리 관련 정책자금 지원과 재무적 투자자(FI) 참여를 요청했다는 관측이 제기됐다. 이와 관련해 산은 관계자는 “논의가 진척될 경우 검토해볼 수는 있겠지만 현재로선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정건희 양민철 기자 moderato@kmib.co.kr
한국노총, 광주형일자리 협상 광주시에 일임
입력 2018-11-14 18: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