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원이 북한 황해북도 황주군 삭간몰 일대에 미사일 기지가 운영되고 있는 사실을 이미 파악하고 있었다고 밝혔다.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가 제기한 ‘미신고(undeclared) 미사일 기지’ 의혹이 새삼스러운 게 아니라는 설명이다. 더불어민주당도 북한의 비핵화 의지를 의심해서는 안 된다며 논란이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고 나섰다.
국회 정보위원회는 14일 북한 미사일 기지 관련 간담회에서 “국정원이 삭간몰 기지 현황은 이미 파악하고 있었으며 통상적 수준의 활동이 지속되고 있다고 보고했다”고 밝혔다. 국정원은 정보위에 스커드·노동 등 북한이 보유 중인 미사일 현황에 대해 보고했고, 다른 미사일 기지에 대해서도 관심을 갖고 집중 추적하고 있다고 밝혔다.
삭간몰 기지에 대한 국정원의 입장은 “이미 파악하고 있던 내용”이라는 청와대 입장과 같다. 전날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단거리미사일용 기지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과는 무관하다”고 밝혔다.
국정원은 정보위 간담회에서 한·미 공조도 거듭 강조했다. 국정원은 “한·미는 북한의 핵과 미사일 관련 시설과 활동을 공동으로 평가·공유하고 있으며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여당에서도 북한의 미사일 기지에 대해 확대해석을 경계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냈다. 홍영표 민주당 원내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이번 논란은 정확지 않은 내용을 바탕으로 부풀려진 것”이라고 강조했다. 홍 원내대표는 “CSIS가 공개한 사진은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이 열리기 석 달 전인 3월에 찍힌 것”이라며 “새로울 것 없는 사진 한 장으로 북한이 비핵화 협상 이면에서 새 미사일 기지를 가동하고 있다고 과장해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번 논란을 계기로 북·미 협상이 조속히 재개되고 상호 신뢰 구축을 통해 최종 합의에 이르러야 하는 이유가 분명해졌다”고 덧붙였다.
이재정 대변인도 “왜곡된 정보로 정치적 의도를 관철시키려는 특정 세력의 가짜 뉴스에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체제 구축이 방해받아서는 안 된다”고 논평했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
국정원 “삭간몰 현황 이미 파악하고 있었다”
입력 2018-11-14 18: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