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아 필수 예방접종인 결핵예방(BCG) 백신에서 중금속 비소가 검출됐다는 소식에 부모들의 불안감이 증폭되고 있다. 이에 보건당국이 직접 비소량 확인에 나섰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국내에 유통된 일본산 경피용 BCG 백신(일본균주)을 수거해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에 비소량 확인을 위한 검정을 의뢰했다고 8일 밝혔다. 회수 조치를 내린 지 하루 만이다.
앞서 7일 식약처는 한국 백신상사가 수입한 일본BCG의 ‘경피용(도장형) 건조 BCG백신(일본균주)’ 14만2125팩을 회수한다고 발표했다. 일본 후생성이 1세 미만 영아에게 접종하는 BCG 백신에 들어가는 첨부 용액(생리식염수 주사용제)에 기준치 이상의 비소가 검출돼 출하를 정지했다고 발표한 데 따른 것이다.
식약처가 직접 비소량 확인에 나선 이유는 부모들의 불안감이 가시지 않고 있어서다. 회수 조치 직후 식약처는 “비소 농도가 낮기 때문에 안전에 큰 문제가 없다”고 설명했지만 논란을 잠재우긴 역부족이었다. 이날 청와대 청원게시판엔 경피용 BCG 관련 글이 수십건 올라왔다. 부모들은 “흉 질까봐 돈 주고 맞힌 건데 아이에게 독극물을 맞게 한 셈이 됐다”고 토로했다.
식약처는 “비소가 독성이 있는 중금속이긴 하지만 이번 BCG 백신에서 검출된 비소량이 1일 허용량의 38분의 1 수준이어서 인체에 유해하지 않다”고 했다. 식약처에 따르면 체내의 비소는 소변을 통해 보통 72시간 내 배출된다. 다만 고농도로 농축될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김영선 기자 ys8584@kmib.co.kr
BCG 백신 공포 확산에… 식약처, 비소량 직접 확인한다
입력 2018-11-08 2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