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세종시, KTX 세종역 신설 신경전 가열

입력 2018-11-08 21:36
KTX 세종역 신설 백지화를 위한 충북범도민비상대책위원회가 8일 충북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문재인 대통령과 정부를 향해 “대선공약 이행”을 촉구하고 있다. 청주=홍성헌 기자

KTX 세종역 신설 문제를 두고 충북도와 세종시의 신경전이 가열되고 있다. 최근 호남지역 국회의원들까지 세종을 경유한 호남선 KTX의 직선화(천안∼세종∼공주)를 요구하고 나서 충북도가 바짝 긴장하고 있는 양상이다.

충북지역 시민사회단체를 중심으로 구성된 ‘KTX 세종역 신설 백지화를 위한 충북범도민비상대책위원회’(이하 범대위)는 8일 충북도청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세종시 건설과 고속철도 정책은 국토균형발전을 위한 대규모 국책사업으로 무엇보다 공공성의 원칙을 지켜 일관성을 유지해야 한다”면서 “세종시 건설 목적과 계획, 고속철도 정책의 목적과 원칙을 훼손하는 세종역 신설 주장과 움직임을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범대위는 이어 “호남지역 국회의원들도 정부에 부당한 압력을 행사해서는 안 된다”며 “국민통합을 위해 최대한 인내하고 자제할 것이나 도를 넘어선 주장과 움직임에 대해서는 단호히 맞서 투쟁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러나 세종시는 충북의 거센 반대에도 불구하고 내년 예산안에 호남고속철도 세종역 신설 타당성 조사를 위한 연구용역비를 1억5000만원 책정했다. KTX 세종역 신설과 관련해 예산이 편성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세종시에서 고려중인 역사 위치(발산리·행정중심복합도시 남쪽)와 호남선 직선화를 가정한 역사 위치(행정중심복합도시 서쪽)는 서로 다르다. 논란이 예상되는 만큼 세종시는 충북도가 납득할 만한 위치에 역을 설치해 갈등 요소를 최소화하겠다는 입장이다.

이춘희 세종시장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새로운 노선을 깔게 되면 비용도 많이 들고 오송역에도 영향을 크게 미칠 수 있다”며 “오송역을 거치는 발산리에 역을 설치하자는 것이 세종시의 입장이다. 충북에서도 그래야 받아들이기 쉬울 것”이라고 말했다.

청주·세종= 홍성헌 전희진 기자 ad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