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2022년까지 ‘시민 안전’에 11조 투입

입력 2018-11-07 21:22
서울시가 지진, 폭염, 미세먼지 등으로부터 안전한 도시를 만들기 위해 2022년까지 11조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서울시는 2022년까지 5개년 계획이 담긴 ‘안전도시 서울플랜’을 7일 발표하고, 인문·사회·노동의 관점을 도입한 최초의 안전대책이자 전문가와 현장 근로자, 시민 주도로 설립한 아래로부터의 안전대책이라고 설명했다. 여기에는 서울시민 1000명을 대상으로 한 도시안전 인식조사도 반영됐다.

안전도시 서울플랜에 따르면, 2022년까지 4대 분야 총 70개 과제에 11조원이 투입된다. 먼저 2022년까지 도시철도, 도로 등 공공시설물 내진율 100% 달성을 목표로 지진에 대한 시민 불안감 해소에 나선다. 또 새로운 재난 유형으로 떠오른 미세먼지 문제 해결을 위해서 2022년까지 초미세먼지 농도를 현재의 20㎍/㎥에서 18㎍/㎥로 감축한다. 폭염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취약계층 지원에 관한 조례 제정을 추진하고 2000만 그루의 나무 심기 등을 추진한다.

사고 초기 신속한 대응을 위해 사물인터넷(IoT)과 빅데이터, 드론 등 기술을 적극 활용한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서울기술연구원을 중심으로 2022년 IoT 지능형 도시관리체계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이밖에도 해외도시 협력체계를 강화하고 안전보안관 등 시민이 함께 참여하는 위험 거버넌스 구축에도 속도를 낸다. 이날 서울시민으로 구성된 1171명의 안전보안관 발대식도 서울시청 서소문청사에서 개최됐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안전은 시민 삶과 도시의 기본 전제”라며 “그동안 서울시가 준비해 온 다양한 정책을 집대성한 만큼 재난에 더욱 체계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김유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