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가 드론(사진)을 모든 행정분야에 확대해 활용한다.
제주도는 초지 불법점용 조사를 비롯한 지적재조사, 자연환경 조사 등에 고해상도 드론을 투입해 단속·관리를 강화한다고 6일 밝혔다.
제주도 축산과는 초지를 불법 전용해 월동채소를 재배하는 행위를 감시하기 위해 전체 초지 161㎢ 중 월동채소 재배가 많고 드론 촬영에 제한이 적은 구좌·성산지역을 ‘초지 불법점용 조사를 위한 드론 시범지역’(9.7㎢)으로 선정했다.
서귀포시 종합민원실은 지적재조사 대상인 안덕·남원지구를 중심으로 필지 경계 확인, 측량·검사의 정확도 분석 등에 드론을 이용한다. 서귀포시 효돈동주민센터도 자연환경 조사를 위해 효돈천(쇠소깍)∼하효항 구간과 월라봉 일대를 드론으로 촬영할 예정이다.
드론으로 촬영된 영상들은 제주도 공간정보시스템을 통해 직원들이 바로 열람할 수 있다. 또 부동산종합공부, 과거항공영상 등 공간정보 데이터와 결합해 업무처리에 도움을 주게 된다.
제주도는 그동안 파래발생지, 경관보전직불지역, 가축사육시설, 절·상대보전지역, 당근재배지 조사 등에 드론을 활용해 왔다. 도는 앞으로 인공지능 기반의 자동화된 드론 영상분석 방법을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도 관계자는 “올해 드론 활용 국토정보모니터링체계 구축사업에 공동 주관기관으로 참여해 드론 활용의 체계적인 기반을 갖춰 나가고 있다”며 “필요한 지역에 드론을 띄워 촬영 후 지도를 제작하는 ‘실시간 드론 매핑’ 방법을 적용해 각종 행정업무 및 재난재해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제주=주미령 기자
제주 ‘드론 감시관’ 활동 영역 늘린다
입력 2018-11-06 19: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