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형 일자리’ 市·노동계 합의… 현대차 노조 반발이 변수될 듯

입력 2018-11-01 19:01 수정 2018-11-01 22:12
광주시와 노동계가 1일 오전 광주 서구 치평동 광주시청 브리핑룸에서 ‘광주형 일자리’ 현대차 투자협상 관련 원탁회의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윤종해 한국노총 광주본부 의장, 이용섭 광주시장, 박병규 원탁회의 의장(사진 왼쪽부터). 뉴시스

‘광주형 일자리’ 문제를 놓고 현대자동차와 마찰을 빚었던 광주광역시와 지역 노동계가 쟁점과 관련해 현대차의 제안을 큰 틀에서 수용키로 했다. 지역 노동계가 현대차의 제안을 상당부분 받아들이면서 광주시와 현대차의 협상이 다음 주 안에 마무리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용섭 광주시장과 윤종해 한국노총 광주지역본부 의장, 박병규 전 광주시 경제부시장 등 원탁회의 구성원들은 1일 광주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새로 출범하는 투자유치추진단이 현대차와 재협상할 투자협약서 수정안을 마련하고 현대차와 협상을 거쳐 다음 주 중 합의를 끌어낼 계획”이라고 밝혔다. 투자유치추진단은 이병훈 광주시 문화경제부시장과 윤종해 의장을 공동 단장으로 이기곤 전 기아차 지회장, 박명준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수석전문위원, 박남언 광주시 일자리경제실장 등 총 8명으로 구성된다.

원탁회의 구성원들은 전날 밤부터 이날 아침까지 진행된 제3차 회의에서 현대차가 제안한 투자협약서(안)를 검토한 끝에 다시 협상에 나서기로 했다. 현대차가 제안한 안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양측이 모두 수용할 수 있는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광주시와 노동계는 지난 28일 회의를 열고 기존 투자협약서에 담겼던 ‘임금협상 5년 유예’ 등 불법 소지가 있는 조항을 빼고 노동계 입장을 반영한 수정협약서를 만들었다. 광주시와 노동계는 최소생산 물량 적시, 주요 의사 결정에 노조 참여 등을 요구했으나 현대차는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이었다.

처음부터 광주형 일자리에 반대했던 현대차 노조는 31일 성명을 내고 “현대차가 투자에 참여할 경우 총파업을 불사하겠다”고 선언했다.

일각에서는 자동차 업계가 판매 부진 등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현대차 노조가 지나치게 ‘밥그릇 지키기’에 나서는 것 아니냐는 비난이 일고 있다. 현대차 노조는 연봉 3500만원 수준인 광주형 일자리가 생기면 평균 9000만원에 달하는 현대차 정규직 근로자의 고액 연봉이 위협받을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한다. 하지만 광주형 일자리 모델은 기업 생산성을 높이고 안정적인 일자리를 제공해 지역경제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으로 평가된다.

한국은행 광주·전남본부 조사팀은 1일 “노·사·민·정 양보와 타협으로 광주형 일자리 모델을 안착시키면 광주에서 추진하는 친환경 자동차 부품 클러스터 조성과 자동차 협력업체들의 업황 회복을 기대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임세정 기자 fish813@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