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무역전쟁 장기화와 미국 금리 인상에 따른 우려가 커지면서 기업 체감경기와 소비자 심리지수 등 ‘센티멘털’이 갈수록 악화하고 있다. 특히 제조업 체감경기는 2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한국은행이 30일 발표한 ‘10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및 경제심리지수(ESI)’에 따르면 이달 전산업BSI는 73으로 전월보다 2포인트 떨어졌다. 최근 3개월 연속 하락하다 지난달 다소 반등했지만 다시 하락세로 돌아섰다.
이 가운데 제조업 업황BSI는 71로 전월보다 2포인트 내려앉았다. 2016년 10월(71) 이후 2년 만에 최저 수준이다. 미·중 무역전쟁 장기화 우려가 한층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대기업(76) 중소기업(65) 모두 각각 3포인트, 2포인트 떨어졌다. 한국 경제의 버팀목인 수출기업BSI가 5포인트나 하락한 77로 집계된 것이다. 지수 자체가 워낙 낮은 내수기업BSI는 전월 수준(67)을 유지했다.
더 큰 문제는 ‘다음 달’이다. 다음 달 제조업 전망BSI는 72로 전월 전망치(78)보다 6포인트나 후퇴했다. 미·중 무역전쟁에 따른 자동차·건설업 부진 우려로 전자영상통신(-7포인트) 화학(-13포인트) 금속가공(-11포인트) 등이 줄줄이 하락했다. 이달에는 전월과 같은 수준(76)을 보인 비제조업 업황BSI도 다음 달에는 지난달 전망치(77)보다 2포인트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과 소비자를 포함한 민간 경제에 대한 심리를 보여주는 ESI는 전월 대비 4.4포인트 내린 92.6을 기록했다. 지난 7월 전월보다 5.1포인트 떨어졌다가 8월과 9월 각각 94.3, 97.0으로 반등했지만 이달 들어 다시 가라앉은 것이다. ESI는 BSI와 소비심리를 나타내는 소비자동향지수(CSI)를 합성한 지표다. 기준치(100)를 넘으면 기업과 소비자를 포함한 민간 경제심리가 과거 평균치보다 나은 수준, 이하면 그 반대라는 얘기다. 지난해 11월 이후 1년 가까이 기준치를 넘지 못하고 있다.
이동훈 선임기자 dhlee@kmib.co.kr
제조업 체감경기 2년 만에 최저
입력 2018-10-30 18: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