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이 시장을 잠식했다. 코스피지수가 ‘심리적 마지노선’인 2000선마저 빼앗겼다. 코스닥지수는 5% 넘게 급락했다. 5000억원대 자금을 투입해 증시 안전판을 만들겠다는 정부 발표도 공포에 질린 투자자를 붙잡지 못했다. ‘셀 코리아’를 이어가는 외국인은 물론 개인투자자(개미)도 ‘투매’에 뛰어들었다.
코스피지수는 29일 31.10포인트(1.53%) 떨어진 1996.05로 장을 마감했다. 2000선 아래로 무너지기는 2016년 12월 7일(종가 1991.89) 이후 22개월 만에 처음이다. 코스피지수는 장 초반에 금융 당국의 증시 안정화 대책에 힘입어 상승 흐름을 보이기도 했다. 시장에선 ‘데드 캣 바운스’(죽은 고양이의 반등·Dead cat bounce)에 불과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지속적인 하락장에서 주가가 급락한 뒤 소폭 회복되는 것을 ‘데드 캣 바운스’라고 한다.
코스피지수는 이마저도 실패했다. 외국인이 순매도에 나서자 내림세로 돌아서며 하락폭을 키웠다. 기관투자가들이 6362억원을 순매수하면서 방어에 나섰지만 역부족이었다. 외국인은 코스피시장에서 8거래일 동안 1조9275억원을 팔아치웠다.
시장에 번진 공포는 ‘개미’들의 투매로 나타났다. 이날 개인투자자들은 코스피시장에서 4876억원을 순매도했다. ‘공포지수’로 불리는 코스피200 변동성지수는 2.72% 오른 23.03을 찍었다. 코스피200 변동성지수는 증시가 급락하거나 불안하게 움직일 때 급등한다.
코스닥지수도 5거래일째 내리막길을 걸으며 5.03% 하락한 629.70에 거래를 마쳤다. 지난해 8월 14일(종가 629.37) 이후 14개월여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외국인은 1049억원, 기관은 1898억원을 순매수했지만 개인이 3040억원을 순매도하면서 지수를 끌어내렸다.
글로벌 증시도 ‘위험자산 투자심리 위축’으로 파랗게 질리고 있다. 이날 중국 상하이종합지수(-2.18%), 일본 닛케이225지수(-0.16%)는 동반 하락했다.
하지만 한국 증시의 하락세가 유독 심상찮다. 금융위원회가 긴급 금융시장상황 점검회의를 열고 대책을 내놨는데도 증시 급락에 ‘브레이크’를 걸지 못했다. 코스피지수는 지난 1월 고점을 찍은 뒤 10개월째 가라앉는 중이다.
금융투자업계에선 ‘반전의 계기’ ‘반등 동력’이 없다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오태동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코스피지수 2000선에서 기술적 반등이 나타날 수 있다”면서도 “약세장을 벗어날 것이라는 강력한 근거가 부족하다면 기술적 반등 후에 기간 조정을 거치며 지루한 행보를 이어갈 가능성이 더 높다”고 진단했다.
임주언 기자 eon@kmib.co.kr
외국인 ‘셀 코리아’에 개미마저 던졌다, 코스피 2000 붕괴
입력 2018-10-29 18:23 수정 2018-10-29 2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