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전북 새만금 일대에 2022년까지 민간 자본 10조원을 들여 원자력 발전 4기 용량에 달하는 태양광·풍력 발전단지를 조성한다는 계획이 알려지자 전북이 텃밭인 민주평화당은 “밀실에서 군사작전식으로 밀어붙인다”며 강하게 반발했다. 이 계획이 비밀리에 진행돼 왔다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 청와대는 ‘어불성설’이라고 일축했지만, 평화당의 반발로 향후 범여권 공조가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김종회(사진) 평화당 의원은 29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정부가 탈원전 이슈는 공론화위원회까지 만들어 추진했는데 새만금 태양광·풍력 발전단지 조성에 대해서는 한 번도 공청회가 이뤄지지 않았다”며 일방적인 정책 추진에 문제를 제기했다. 정동영 대표도 정부의 계획에 우려를 표명하며 “내일(30일) 문재인 대통령이 군산을 방문해 분명한 입장을 밝혀줄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새만금 관련 계획이 청와대 주도로 비공개로 추진됐다는 이날 한 언론의 보도에 대해 청와대 관계자는 “새만금 사업은 전북도의 숙원사업인데 비공개로 할 수 있겠느냐. (새만금개발청 등) 수많은 관계기관과 상의해 왔다고 보는 게 상식 아니겠느냐”고 반박했다.
앞서 정 대표는 28일 전북도의회에서 평화당 전북 지역 의원들과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가 전북도민의 동의도 구하지 않고 사전 환경영향평가 절차마저 무시한 채 새만금을 신재생에너지 메카로 건설하려 한다”며 정부 계획의 전면 재검토를 요구했다.
평화당은 사법농단 의혹 규명을 위한 특별재판부 설치에 대해선 여당과 뜻을 같이하고 있다. 하지만 새만금 이슈에는 견해차가 커 이에 대한 정부·여당의 대응이 향후 정기국회에서 평화당의 협조 여부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
“새만금 사업, 밀실서 군사작전식으로 밀어붙여”
입력 2018-10-29 1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