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권 행사인가, 관치의 그림자인가.’ 지주회사 전환을 앞둔 우리은행에 ‘관치 논쟁’이 불거지고 있다.
지주회사 회장 선출을 놓고 정부가 경영자율권을 침해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우리은행은 26일 이사회를 열어 지주회사 회장 후보 선출 절차 등을 논의한다.
금융 당국이 논란에 불을 지폈다.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지난 15일 기자간담회에서 우리은행의 지주회사 회장 및 은행장 겸임 여부를 두고 “판단을 갖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위성백 예금보험공사 사장도 국정감사에서 “우리은행 지배구조에 의견을 내겠다”고 밝혔다. 예금보험공사는 우리은행 지분 18.4%를 보유하고 있는 최대주주다.
금융권에서는 금융 당국 움직임을 ‘주주권의 적극 행사’ 신호로 받아들인다. 일각에서는 정부가 우리은행의 경영에 관여하지 않겠다던 기존 입장에서 180도 돌아선 것 아니냐는 비판도 제기된다.
2016년 11월 우리은행 지분매각 최종 낙찰자를 선정할 때 임종룡 당시 금융위원장은 “예금보험사는 공적자금 관리를 위한 최소한의 역할만 한다. 우리은행은 이제 정부 소유 은행이라는 굴레를 벗었다”고 선언했다. 이어 우리은행 과점주주 대표들에게도 “민영화한 우리은행의 자율경영에 대한 정부 약속은 반드시 이행하겠다”고 말하기도 했다. 하지만 2년 만에 정부 입장이 뒤집어지면서 우리은행 과점주주들의 경영권이 무너지고 있다는 지적에 직면하게 됐다.
우리은행은 정부 보유지분을 매각하면서 경영자율권 보장을 전제로 과점주주체제를 만들었다. IMM프라이빗에쿼티와 한국투자증권, 키움증권, 한화생명, 동양생명, 미래에셋자산운용, 유진자산운용 등 7개 기관투자가가 지분 27.22%(2017년 말 기준)를 갖고 있다.
박재찬 기자 jeep@kmib.co.kr
지주사 전환 앞둔 우리銀 ‘관치’ 논란
입력 2018-10-25 18:43 수정 2018-10-25 2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