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르면 내년 상반기 서해5도 북방한계선(NLL) 위쪽 백령도와 북한 장산곶 사이 해역에 남북공동어로 시범구역 1곳이 설정된다.
김재익 인천시 해양항공국장은 24일 “남북 정상의 평양선언 이후 남북공동어로구역에 대한 협의가 남북군사공동위원회에 위임됐다”며 “이달 말 구성되는 남북군사공동위에서 구체적인 수역이 확정되면 남북한 수산자원에 대한 공동조사도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김 국장은 또 “논의가 활발해질 경우 2021년까지 대청도∼연평도 사이 해역에 남북 공동어로 구역 2∼3곳이 추가로 설정될 가능성도 있다”고 내다봤다.
26일 오후 3시 해양수산부 주관으로 국방부, 통일부, 인천시, 어민대표, 시민단체 등 20여명이 참여하는 민·관·군 협의회가 처음으로 열려 남북공동어로구역 내 조업구역, 조업방법 등을 논의한다.
정부가 검토 중인 남북공동어로 시범구역은 가로 10마일, 세로 10마일 총면적 560㎢(북한수역 280㎢ 포함) 규모다. 남북 어민들은 이곳의 수산물 상황을 파악한 뒤 협력을 통해 어업을 활성화하게 된다. 국방부는 무장을 하지 않은 군인들이 어장 주변의 경계를 담당하면서 만일의 사태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서해5도 어민들은 우선 어장을 확장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불법 중국 어선들이 기승을 부리고 있는 상황에서 북방한계선 월선을 막는다는 이유로 어장 확대를 외면해온 해양당국도 적극적인 입장이다.
서해5도 어장은 현재 3209㎢ 규모인데 최소 306㎢ 이상을 확장하고, 일몰 후 3시간까지 야간조업을 허용해 주는 방안도 추진된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
서해 남북공동어로구역, 내년 상반기 시범운영
입력 2018-10-24 2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