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교통공사 채용비리 의혹 대부분 가짜뉴스… 책임 묻겠다”

입력 2018-10-24 22:28
서울교통공사 친인척 채용비리 의혹에 대해 서울시가 공식 기자회견을 열고 “의혹 대부분이 실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가짜뉴스’에 대해 책임을 묻겠다고 밝혔다. 서울시 다른 기관들에 대한 조사 필요성에 대해서는 서울교통공사 감사 결과가 나온 뒤 판단하겠다는 입장이다.

윤준병 서울시 행정1부시장은 24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18일과 22일에 실시된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토교통위원회 국정감사를 통해 서울교통공사에 제기된 다양한 의혹에 대한 입장과 사실관계를 밝혔다”며 “제기된 의혹이 대부분 명확한 실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윤 부시장은 이어 “일부 정치권에서는 가짜뉴스와 허위자료를 확대 양산하며 진실을 거짓으로 호도하고 있다”며 “무책임한 정치 공세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하며 사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나는 부분에 대해서는 향후 분명한 책임을 묻겠다”고 덧붙였다. 책임을 묻는 방식에 대해서는 “법적 책임까지 포함돼 있다”고 언급했다.

윤 부시장은 친인척 재직 조사의 응답률, 실제 친인척이 있다고 답한 비율 등은 감사원 감사 결과 수정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공식적인 자료 조사가 아니었으며, 가족 직원의 교대 근무 등을 고려하기 위한 참고용 내부 조사였다는 것이다.

그는 “(조사 숫자나 비율이) 실제와 다르다는 것이 비리와 부정채용을 뒷받침하는 것처럼 나오는데 이런 상황을 바로잡고 싶다”고 말했다. 엄격한 절차를 거치지 않은 조사였기 때문에 실제 친인척 비율과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그것이 채용비리와 연결돼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실제로 서울교통공사가 당초 밝힌 정규직 전환자 중 재직자의 친인척은 108명이었으나 최근 전 노조위원장 아들, 수서역 역장의 아내와 처형 등이 추가로 확인되면서 재직자 친인척은 112명으로 늘어났다. 이들은 당초 조사에 응하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날 권수정 서울시의원이 개최한 ‘서울시 공공기관 비정규직 정규직화 현황 진단과 과제 토론회’에서는 120다산콜재단, 서울대공원, 서울산업진흥원 등에서 벌어진 정규직 전환 갈등 사례들이 보고됐다.

김철 사회공공연구원 연구실장은 토론회에서 “서울시는 비정규직 제도의 폐지가 왜 중요한지, 비정규직의 전환이 어떤 의미인지, 이 과정에서 어떤 변화가 생기는지 등을 설명하고 기존 정규직들을 설득하려는 노력을 별로 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김유나 기자 spri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