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태경 “민주노총은 고용세습의 대마왕”

입력 2018-10-24 18:16
바른미래당이 24일 민주노총의 고용세습 문제를 지적하며 최근 공공기관 채용비리 의혹으로 불거진 고용세습 공세에 가세했다.

하태경(사진) 바른미래당 최고위원은 최고위원회의에서 “민주노총은 고용세습의 대마왕”이라며 “이달까지 단체협약에 고용세습 조항을 유지하고 있는 노조는 13곳이고, 이 중 민주노총은 9곳”이라고 밝혔다. 그는 “서울교통공사의 고용세습도 민주노총이 주도했다”며 “이런 위법한 단체협약을 유지해온 것에 대해 민주노총은 국민과 대한민국 청년들에게 공개 사과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하 최고위원이 고용노동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고용세습 조항이 포함된 단체협약을 유지하고 있는 민주노총 소속 노조는 현대자동차 등 9곳이고, 한국노총 소속 노조는 삼영전자 등 3곳이다. 상급단체에 가입하지 않은 두산모트롤까지 포함한 13곳의 노조는 단체협약에 장기근속자 및 정년퇴직자의 자녀를 신규채용 시 우선 채용하도록 하는 조항을 넣어 고용을 대물림하고 있다.

민주노총 산하 금속노조 중 가장 세력이 큰 현대자동차는 신규채용 때 정년퇴직자와 25년 이상 장기근속자의 직계자녀 1인을 우선 채용하고 있다. 노조원 자녀가 아닌 일반 청년 취업준비생은 공정한 경쟁 기회를 박탈당하고 있는 셈이다.

하 최고위원은 “고용세습 조항을 유지하는 단체협약을 계속 방관하는 민주노총이야말로 기득권 지키기에 혈안이 돼 있는 특권층”이라며 “정부는 민주노총의 고용세습 문제를 전수조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동철 바른미래당 의원도 앞서 국정감사 자료를 통해 민주노총 소속 노조의 고용세습 사례를 폭로했다. 금호타이어는 정년퇴직한 조합원이 요청하면 별다른 결격 사유가 없는 한 자녀를 우선 채용하고, 성동조선해양은 10년 이상 근속자가 병에 걸리거나 그 후유증으로 근무가 어려워진 경우 자녀를 채용하도록 하고 있다.

바른미래당 채용비리 근절 특별위원회 위원장을 맡은 지상욱 의원은 “고용세습과 친인척 채용비리는 문재인정부와 민주노총이 합작한 국정농단이며 최악의 역대급 적폐”라고 맹비난했다.

이형민 기자 gilel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