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동조합이 파산위기에 몰린 강원도 춘천의 버스업체를 인수하기로 했다.
23일 춘천시에 따르면 춘천녹색시민협동조합은 춘천시의 유일한 시내버스 업체인 대동·대한운수 인수를 진행 중이다. 대동·대한운수는 경영악화로 지난 1월 법정관리에 들어갔고 10개월 만인 지난 19일 서울회생법원에서 회생계획안이 통과됐다. 대동·대한운수 인수 절차는 잔금 처리만 남겨두고 있다. 협동조합은 매각금액 78억원 가운데 계약금과 중도금 등으로 30억원을 납부했다.
그러나 협동조합의 경영능력, 자금마련 의구심과 함께 특혜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협동조합은 불과 한 달 전 창립했고, 인수 자금 30억원 대부분을 은행대출 등을 통해 마련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나머지 채무액 48억원을 춘천시가 대동·대한운수 차고지를 매입하는 방식으로 해결하기로 해 특혜논란도 빚고 있다.
김보건 춘천시의원은 “운송업체를 운영한 경험이 없는 시민협동조합이 운영권을 확보하게 되면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며 “출범한 지 한 달 밖에 안 된 신생 조합의 경영전문성에 대한 의문과 자금 확보 방안 등의 변수를 점검하는 절차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민주노총 소속 운수종사자들로 구성된 ‘춘천시내버스 민간사업 적폐청산과 완전공영제 쟁취 투쟁본부’도 협동조합의 버스업체 인수를 반대하고 나섰다. 이들은 “버스운영과 무관한 협동조합이 일부 시민들의 출연자금과 시의 지원금으로 회사를 인수해 경영한다는 것 자체가 의심스럽다”며 “인수자금 마련 과정에서도 시의 공적자금이 투입되는 등 각종 특혜 의혹에 대해서도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논란이 커지자 협동조합 측은 전날 춘천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입장을 밝혔다. 협동조합 측은 “춘천시의 차고지 매입은 서울회생법원에서 요구한 것”이라며 “매각 금액을 지원한 특정인에 대한 신상정보는 개인정보로 밝힐 수 없다”고 말했다.
춘천=서승진 기자 sjseo@kmib.co.kr
신생 협동조합, 은행 대출받아 파산위기 버스업체 인수 논란
입력 2018-10-23 2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