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통신 3사의 현금성 자산이 7년 새 2배 넘게 늘어난 만큼 이통사들이 가계 통신비 부담을 줄이는 데 적극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박광온 의원(더불어민주당)은 한국거래소의 ‘코스피 상장사들의 연결재무제표’를 분석한 결과 이통 3사의 현금성 자산이 지난해 말 3조8358억원으로 파악됐다고 22일 밝혔다. 이는 2010년 현금성 자산 1조7893억원의 2.1배에 이르는 수치다. 현금성 자산은 기업의 현금과 수표, 예금 등을 아우르는 자산이다.
현금성 자산이 가장 많은 곳은 KT로 지난해 1조9282억원을 기록했다. 2010년(8943억원)의 약 2.2배에 달한다. 7년간 현금성 자산이 가장 많이 늘어난 곳은 SK텔레콤으로 2010년 3575억원에서 지난해 1조4577억원으로 약 4.1배 급등했다. LG유플러스는 2010년(5375억원)보다 지난해(4499억원) 외려 줄었지만 2008년 현금성 자산(501억원)과 비교하면 큰 폭으로 늘었다.
하지만 통신업계에서는 이 주장이 회계를 일부 오독해 수치가 과장된 데다 현금성 자산은 이통사들이 5G 등 신사업에 투자하는 데 필요한 자금이라고 맞섰다.
SK텔레콤과 KT의 회계 자료가 2010년에는 별도재무제표, 지난해에는 연결재무제표로 돼 있어 비교가 부적절하다는 것이다. 지난해 현금성 자산을 별도 기준으로 보면 SK텔레콤의 경우 약 8801억원으로, 2010년의 약 2.5배에 그친다. 같은 기준에서 KT의 지난해 현금성 자산(1조1664억원)은 2010년의 약 1.3배다.
아울러 이통사들은 연결 기준 현금성 자산이 종속회사의 현금보유액까지 합산된 수치라 ‘이통사의 여유자금’과는 거리가 멀다고 강조했다. 업계 관계자는 “현금성 자산은 매월 현금지출을 고려해 잠깐 보유하고 있는 자본”이라며 “5년간 총 20조원 이상이 투입될 5G 등 미래 신산업을 위한 투자금액이기도 하다”고 설명했다.
한편 시민단체 소비자주권시민회의(소비자주권)는 이날 방송통신위원회 심결서를 분석한 결과 이통3사의 공시지원금 초과 지급 수준이 가입자 1인당 29만4648원이라고 주장했다. 공시지원금은 이동통신사가 단말기 구매자에게 대리점을 통해 할인, 현금 지급, 가입비 보조 등의 방식으로 제공하는 금액이다. 소비자주권은 지난해 도매 및 온라인 영업 관련 불법 초과 지원금이 약 1조5917억원에 달한다고 추정하고, 이를 근거로 단말기 가격 및 통신비 인하 여력이 충분하다고 강조했다.
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
이통3사, 현금성 자산 3.8조… 7년 새 2배↑
입력 2018-10-23 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