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풀 꺾인 집값 상승세, 하락 반전 할까

입력 2018-10-21 18:42 수정 2018-10-21 22:10

정부가 투기수요 억제 및 다주택자 압박에 이어 대출 규제까지 쏟아내면서 서울·수도권 부동산 시장 관망세가 짙어지고 있다.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수요자들이 섣불리 거래에 나서지 않고 매도자도 상황을 지켜보겠다는 분위기여서 주택 시장이 얼어붙은 양상이다.

21일 부동산114의 수도권 주간 아파트 시장 동향에 따르면 10월 셋째 주 서울 아파트값 오름폭은 8·27 대책 발표 이전 수준인 0.13% 상승에 그쳤다.

매주 0.5% 이상 집값이 급등했던 8월 말에 비해 상승폭이 4분의 1 수준으로 뚝 떨어졌다. 한국감정원의 같은 주 통계에서도 서울 아파트 매매가는 0.05% 상승에 그쳐 6주 연속 상승률이 둔화됐다.

서울 지역은 전반적으로 9·13 대책 발표 이후 매수 관망 분위기가 계속되고 있다. 서울 25개 구 가운데 그간 오름세를 유지했던 강북 도봉 동작 성동 영등포 등 5곳이 이번 주 들어 보합세로 전환됐다.

다만 추격매수가 주춤한 동시에 매도 대기자들 역시 이미 올라간 호가를 쉽게 낮추지 않고 있다. 때문에 집값 상승폭 확대는 멈췄으나 상승곡선은 여전히 유지되는 상황이다. 거래량 자체가 얼어붙은 상황에서 재건축(0.08%), 신도시(0.08%), 경기·인천(0.04%) 역시 가격 변동이 미미했다. 전세시장도 가을 이사철 성수기가 무색할 만큼 조용했다. 서울이 0.03% 오르는 데 그쳤고 신도시와 경기·인천은 변동이 없었다.

이처럼 과열됐던 집값 급등세는 한풀 꺾였지만 서울 부동산이 단기간에 하락 반전할 것으로 예측하는 시각은 많지 않다. 업계 관계자는 “양도세 강화와 대출 규제 등으로 매매거래 유인 자체를 급격히 제한한 상황에서 여전히 부동산 시장을 바라보고 있는 투자자들은 ‘똘똘한 한 채’에 집중하고 있다”며 “서울 시장이 약보합세 이상 꺾이기 어려운 근본적인 이유”라고 진단했다.

결국 주택시장이 안정적인 기조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유의미한 추가 공급 대책과 금리 인상, 부동산에 쏠려 있는 비정상적인 투자수요 분산 정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건희 기자 moderat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