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교통공사와 서울시가 ‘서울교통공사 친인척 채용비리’ 의혹에 대해 해명에 나섰다.
서울교통공사(이하 공사)는 18일 해명자료를 내고 지난 3월 정규직으로 전환된 무기계약직 1285명 중 공사 직원의 친인척이 108명이라는 조사 결과는 공사 전 직원(1만7084명) 대상 조사에서 확인된 수치라고 밝혔다.
자유한국당은 전날 “공사가 실시한 ‘친인척 재직 현황 조사’는 응답률이 11.2%(1680명)에 그쳤다”며 “11.2%만 조사된 결과 108명이 재직자의 친인척이라고 밝혀졌는데, 100% 조사가 이뤄졌다면 1080명 가량이 친인척이라는 추론이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공사는 또 계약직이 곧 정규직이 된다는 걸 알고 직원들이 친인척을 대거 무기계약직으로 입사시켰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무기계약직 채용 공고는 2017년 3월이 마지막이었고, 서울시의 무기계약직 정규직화 방침이 처음 발표된 시점은 2017년 7월이었다”며 “일정상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공사는 재직자 친인척으로 확인된 정규직 전환자 108명 중 34명은 2016년 5월 구의역 사고 이전에 무기계약직 신분을 얻은 경우라서 정규직 전환을 염두에 두고 입사시켰다는 의혹과는 무관하고 구의역 사고 이후 채용된 이들 중 36명은 제한경쟁, 38명은 공개채용을 통해 입사했다고 설명했다.
서울시 측은 “친인척 채용비리 여지가 있다면 제한경쟁 채용인데, 이 역시 기존에 용역회사나 자회사에서 안전업무를 담당하던 이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것이라서 비리가 끼어들 여지가 없다”고 해명했다.
이번 사건을 ‘문재인정부의 채용비리 게이트’로 명명한 자유한국당은 이틀째 공세를 이어갔다. 김용태 한국당 사무총장은 이날도 기자회견을 열고 “서울교통공사에서 무기계약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총괄한 김모 처장의 아내가 공사 식당의 찬모로 무기계약직이었는데 정규직이 됐다”고 새로운 의혹을 제기했다. 또 과거 통합진보당 출신 인사 2명이 관련 자격증도 없이 스크린도어 개·보수 업무를 맡는 무기계약직으로 들어온 뒤 정규직으로 전환됐다고 주장했다. 한국당은 18일 서울시 국정감사에서 맹공을 예고했다.
서울시는 “철저하고 객관적인 감사를 위해 감사원 감사를 공식 요청하겠다”고 밝혔다.
김남중 이종선 기자 njkim@kmib.co.kr
“친인척 채용비리, 일정상 불가능했다”… 서울시·서울교통공사 해명
입력 2018-10-17 2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