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서울교통공사 채용 비리 의혹 묵과할 수 없다

입력 2018-10-18 04:00
자유한국당이 서울시 산하 기관인 서울교통공사의 정규직 전환과 관련해 비리 의혹을 제기했다. 지난 3월 1일자로 무기계약직에서 정규직으로 전환된 1285명 가운데 108명이 재직자의 자녀 형제 배우자 등 가족이나 친인척으로 조사됐다며 ‘고용 세습’이라고 주장했다. 김용태 한국당 사무총장은 17일 기자회견까지 열어 민주노총 방해로 이번 조사에는 직원의 11.2%만 응했는데 전체 직원을 조사했다면 정규직으로 전환된 친인척 수는 1000명이 넘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정규직 전환 대상자의 대부분이 직원의 친인척이라는 주장인데 사실이라면 특혜도 이런 특혜가 없다. 심각한 취업난 속에서 가슴앓이를 하고 있을 구직자들에게는 분통이 터질 일이다.

계약직으로 2년 이상 근무하면 전환되는 무기계약직은 고용보장 측면에서는 정규직과 차이가 없지만 연봉 복리후생 승진에서 불리하다. 그런 만큼 경쟁이 덜 치열하고 채용 절차도 비교적 간단하다. 서울교통공사 정규직은 필기시험과 인성검사까지 포함해 5단계를 거쳐 채용되지만 무기계약직은 서류·면접·신체검사 등 3단계만 거치면 된다. 서울교통공사는 올해 하반기 530명을 뽑는 공채에 3만명이 몰릴 정도로 인기 있는 직장이다. 내부 정보를 입수한 직원의 친인척들이 취업하기 상대적으로 수월한 무기계약직을 거쳐 정규직이 됐다면 공정하다고 할 수 없다. 바늘구멍 같은 취업문을 뚫기 위해 애쓰고 있는 취업준비생들의 기회를 빼앗아버린 셈이다.

서울교통공사는 정규직 전환은 철저한 외부 전문가 심사와 검증을 거쳐 특혜와 공정성 시비가 없었다고 주장했지만 의혹이 제기된 만큼 진상을 밝히는 게 불가피하다. 서울시는 “철저하고 객관적인 감사를 위해 감사원 감사를 요청하겠다”고 밝혔다. 감사원이 서울교통공사의 무기계약직 채용과 정규직 전환 과정 전반에 대해 전면적인 감사를 실시해 비리 의혹을 낱낱이 규명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