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이어 영국 상대 ‘대북 제재 완화’ 설득전

입력 2018-10-17 04:00

유럽 순방 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테리사 메이(사진) 영국 총리와 정상회담을 갖고 대북 제제 완화를 요청할 예정이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에 이어 두 번째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과의 정상회담이다. 마크롱 대통령이 유엔 대북 제재 완화에 원칙적 반대 입장을 밝힌 상황에서 메이 총리와의 회담 결과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청와대는 16일(현지시간) 프랑스 프레스센터에서 “문 대통령이 오는 19일 벨기에에서 열리는 아시아·유럽정상회의(ASEM) 참석을 계기로 메이 총리와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 프라윳 찬오차 태국 총리와 각각 정상회담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가장 관심을 모으는 것은 한·영 정상회담이다. 문 대통령은 이번 유럽 순방에서 한반도 문제에 대한 유럽의 관심을 환기시키고, 북한의 비핵화 촉진을 위한 유엔 대북 제재 완화 필요성을 설득하는 데 힘을 쏟고 있다. 메이 총리가 전향적인 입장을 밝힌다면 북·미 대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하지만 15일 마크롱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결과에서 보듯 유럽 정상들은 북한의 비핵화 진정성보다는 핵·미사일 문제의 심각성에 무게를 두는 분위기여서 결과를 장담하기 어렵다. 기존의 선(先) 비핵화, 후(後) 제재 완화 대신 비핵화와 제재 완화를 병행하자는 문 대통령의 구상을 유럽 정상들이 어떻게 받아들일지는 미지수다.

이번에 한·영 정상회담이 성사되면서 문 대통령은 올해 안보리 상임이사국(미국 영국 프랑스 중국 러시아)과 모두 정상회담을 갖게 됐다.

문 대통령은 16일 파리에서 열린 한·프랑스 비즈니스 서밋에 참석해 “마크롱 대통령과 21세기 포괄적 동반자 관계를 미래지향적으로 심화 발전시켜 나가기로 했다”며 “양국 간 투자·교역을 대폭 확대하고 미래 신산업 분야와 스타트업 분야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행사에는 프랑스 정부 관계자와 양국 기업인 등 200여명이 참석했다.

문 대통령은 최근 친환경차와 항공기 부품, 화장품 등으로 교역 품목이 다각화된 점을 언급하며 “정례적인 한·프랑스 경제장관 대화 채널을 통해 교역과 투자 확대를 도울 것”이라고 말했다. 르노자동차와 한국 연구팀 간 저속 정체구간 자율주행 기술 공동 개발뿐 아니라 신산업 기술협력 포럼을 통한 4차 산업혁명 대응에도 적극 나서겠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프랑스는 유럽의 정치·경제·문화의 중심지이고 한국은 동북아의 거점 국가”라며 “서로에게 매력적인 시장임이 분명하다”고 강조했다.

앞서 문 대통령은 파리시청에서 열린 리셉션에서 안 이달고 파리시장을 만나 2024년 파리 하계올림픽에 남북이 공동 진출할 수 있도록 관심을 가져 달라고 당부했다. 3박4일의 프랑스 국빈방문 일정을 끝낸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이탈리아로 떠났다.

파리=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