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남춘 인천시장 “수도권쓰레기매립지 조기 종료 공론화… 대체매립지 용역 예정대로 추진중”

입력 2018-10-15 21:55
박남춘 인천시장이 15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살고 싶은 도시, 함께 만드는 인천’ 민선7기 시정운영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인천시 제공

“수도권쓰레기매립지는 3-1공구 매립이 끝나면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도록 하고, 축제장소로 활용하는 방안을 마련하겠습니다.”

박남춘 인천시장은 15일 민선 7기 시정운영계획 발표 기자회견을 통해 수도권쓰레기매립지 처리 방안과 관련 “환경부와 서울시는 전처리시설을 해달라고 요구하고 있으나 받아들일 수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박 시장은 관할 서구청장이 검토 중인 쓰레기 매립지 조기 종료방안을 공론화하고, 3개 시·도가 추진 중인 대체매립지 용역을 예정대로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날 발표된 민선 7기의 시정비전은 대한민국 2대 도시로의 발돋움을 위해 ‘살고 싶은 도시, 함께 만드는 인천’으로 제시됐다. 시정원리는 정의, 소통, 협치, 혁신을 내세웠고 20개 분야의 138개 시정과제를 선정했다.

박 시장은 경제자유구역만이라도 규제프리존을 운영할 수 있게 하는 정부계획이 확정되면 인천국제공항 주변의 항공정비단지(MRO)를 추진하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공항MRO 단지를 추진하면 공항경제권을 통해 5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박 시장은 또 “시민들이 이용할 수 있는 친수공간을 확대를 위해 남동공단 해안도로, 청라일반산업단지, 아암물류단지 2곳, 청라 로봇랜드 주변까지 5곳의 해안철책 6.98㎞를 내년부터 단계적으로 철거해 해양친수도시 인천의 가치를 재창조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박 시장은 주민참여예산을 활성화하기 위해 기존 10억원의 예산을 내년에는 200억원 수준으로 확대하고, 임기 내에 연 500억원 규모로 늘리는 등 주민참여예산제를 확대하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시정공론화위원회를 통해 시민여론이 정책에 반영되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박 시장은 마지막으로 “북한이 관심을 보이고 있는 스마트시티 관련 학술대회에 북한을 초청하겠다”며 “해주와 남포지역에 인천지역 항만기업들이 진출할 수 있는 기회도 마련하고 싶다”고 말했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