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공단, 레일 공공성 강화 나선다

입력 2018-10-15 18:57 수정 2018-10-15 21:33

한국철도시설공단이 3조6700억원 규모의 대형 설계사업을 통해 철도분야 공공성 강화에 나선다. 15일 한국철도시설공단에 따르면 철도공단은 지난달 인덕원∼동탄, 여주∼원주, 인천·수원발 KTX 등 신규 철도사업 4건에 대한 설계에 돌입했다.

철도공단은 이번 사업을 통해 인천∼강릉 철도축 완성, 수도권 남부 주민들의 고속철도 접근성 향상 등 철도 공공성을 확보하겠다는 방침이다. 특히 사업에 총 3조6700억원의 예산이 투입될 예정인 만큼 신규 일자리도 수만개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인덕원∼동탄 복선전철사업’은 2026년까지 인덕원역과 분당선 영통역, SRT 동탄역을 연결하는 사업으로 2조7190원의 사업비가 투입된다. 총 37.1㎞ 구간에 18곳의 정거장이 설치되며, 내년에는 노반분야를 비롯해 궤도·시스템 등 후속분야에 대한 기본설계용역이 진행된다. 사업이 성공적으로 완료될 경우 수도권 서남부 주민들의 고속철도 접근성, 광교·영통·동탄 등 대규모 택지개발 지역의 교통여건이 대폭 개선될 전망이다.

2023년까지 5299억원이 투입되는 ‘여주∼원주 철도건설 사업’은 월곶∼판교와 원주∼강릉 철도를 잇는 사업으로, 동서 철도네트워크의 미연결 구간을 연결하는 것이 골자다. 이 사업이 완료되면 인천에서 강릉까지 직통운행이 가능해져 인천과 수도권 남부지역, 강원도 지역의 동반 발전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밖에 ‘인천발 KTX 직결사업’은 수인선 송도역과 경부고속철도를, ‘수원발 KTX 직결사업’은 경부선 서정리역과 수서고속철도를 잇는다. 두 사업이 모두 완료되는 시점인 2021년 이후부터는 인천과 수원 주민들도 경부·호남고속철도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김상균 철도시설공단 이사장은 “수도권 남부 주민들의 고속철도 접근성이 향상될 뿐 아니라 인천과 강릉을 연결하는 철도축의 완성으로 철도 공공성이 더욱 강화될 것”이라며 “사업에는 총 3조6762억원이 투입되며 7만2000여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