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해상국립공원 불법행위 4년간 5배 증가

입력 2018-10-14 18:04
한려해상국립공원 구역에서 야영, 흡연 등 불법·무질서 행위를 하던 탐방객들을 단속하는 모습.

낚시와 캠핑이 ‘국민 취미’로 떠오르면서 해상국립공원 불법행위가 가파르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활동의 질은 높아졌지만 자연을 보호 대상으로 여기는 인식은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전현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4일 국립공원관리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4년간 해상국립공원 불법행위 적발건수는 2014년 63건에서 지난해 329건으로 5배 이상 늘었다.

한려해상 국립공원 내 동부사무소(통영, 거제 인근)의 경우 적발된 불법행위가 2014년 12건에서 2015년 69건, 2016년 134건으로 급증했다. 지난해에는 228건으로 4년 전보다 무려 19배나 늘었다. 적발건수 순위로도 2014년 국립공원사무소 29곳 중 22위에서 지난해 3위로 뛰어올랐다. 1위는 북한산, 2위는 설악산이 차지했다. 태안해안은 2014년 18건에서 지난해 44건, 다도해해상(서부 포함)은 같은 기간 22건에서 44건으로 늘었다.

한려 동부에서 벌어진 위법행위는 불법 취사(92건·지난해 기준)와 불법 야영(89건)이 대부분이다. 국립공원관리공단 측은 해양관광 수요가 늘면서 탐방객이 증가한 것을 원인으로 보고 있다. 특히 한려 동부는 거가대교가 연결된 후 접근성이 좋아지면서 인근지역 주민들의 방문이 늘어났다는 설명이다.

국내 낚시 인구는 700만명으로 추산된다. 지난해 10월 세종대 관광산업연구소와 컨슈머인사이트가 실시한 ‘취미를 위한 여행목적’ 조사에서 낚시는 등산을 제치고 1위에 올랐다.

최근 4년간 전체 국립공원(해상국립공원 포함) 불법행위 총 적발건수는 2014년 2554건, 2015년 2518건, 2016년 2809건으로 매년 늘었다가 지난해 2677건으로 소폭 줄었다. 유형별로는 사고 위험이 높은 위험 샛길출입이나 취사 등이 많았다.

전 의원은 “바다낚시 등 해상 레저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해상국립공원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며 “안전사고 및 해양오염 등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대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