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 지도부가 황교안 전 국무총리, 오세훈 전 서울시장, 원희룡 제주지사, 유승민 전 바른미래당 공동대표 등 외부 보수 인사들을 포함한 ‘보수대통합’ 추진을 공식화했지만 실제 대통합까지는 넘어야 할 산이 많다는 지적이 나온다. 당장 당내에서조차 지도부의 보수대통합 추진에 시큰둥한 반응이 적지 않다. 탄핵과 분당(分黨)을 거치며 생긴 친박근혜(친박)계와 비박근혜(비박)계 간 감정의 벽을 극복하는 문제와 외부 인사들의 한국당 합류 명분 찾기도 난제다.
한국당 핵심 관계자는 14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문재인정부의 폭주를 막기 위해서는 보수대통합이 불가피하다”며 “여러 사람이 모일 수 있는 방법과 명분을 고심하고 있다”고 말했다. 당 지도부는 우선 기회가 닿는 대로 황 전 총리와 원 지사, 유 전 대표 등을 만나 보수대통합에 대한 의견을 주고받는다는 방침이다. 또 국정감사가 끝나는 다음 달 초쯤 당헌당규개정위원회를 출범시켜 현재의 단일지도체제를 집단지도체제로 개편, 영입 인사들이 지도부에 참여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친박계는 지도체제 개편에는 동의하면서도 보수대통합 구상엔 시큰둥하다. 한 친박계 중진 의원은 “보수대통합 구상은 지도부 인사들의 개인 생각일 뿐”이라고 말했다. 친박계는 우선 황 전 총리를 중심으로 결집하는 분위기다. 지난달 일부 친박계 의원들이 황 전 총리와 오찬을 함께한 데 이어 다음 달 초에도 의원 10여명이 그와 만찬회동을 갖고 내년 초 전당대회 출마를 요청할 것으로 알려졌다. 황 전 총리가 전당대회 출마를 고사할 경우 친박계는 유기준·정우택 의원, 김태호 전 경남지사 등을 중심으로 결집할 가능성이 있다.
유 전 대표를 비롯한 옛 새누리당 출신 바른미래당 인사들의 합류도 현재로서는 불투명하다. 비록 바른미래당 내 노선 갈등이 계속되고 있지만 유 전 대표 등이 과거 한국당을 향해 “아무것도 변한 게 없는 낡은 보수”라며 공개 비판해온 만큼 한국당의 인적 쇄신 없이는 이들의 합류 명분이 약하기 때문이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
보수대통합 주장하는 한국당, 당내 의견은 분열
입력 2018-10-15 04:00